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采(캘)와 孚(알깔)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8. 04:30
(采)모양채 (採)가릴,캘채 (菜)나물 채 (彩)채색 채 / (浮)뜰 부 (孵)알깔 부 (乳)젖 유 (采)모양채는 손톱으로 나무를 고르는 (採)가릴,캘채는 손으로 가려서 캐니 (菜)나물 채는 풀에서 골라서 캐는 것은 (彩)채색 채은 캔 나물은 머릿결처럼 빛나는 / (浮)뜰 부는 물에서 알깔고 (孵)알깔 부은 알이 깨고 (乳)젖 유는 알깨고 꼭지로 먹이는 1. 喝采(갈채,칭찬(꾸짖을)갈,모양채) 風采(풍채,모습풍) 2. 採用(채용,가릴채,쓸용) 採集(채집,모을집) 採擇(채택,고를택) 3. 菜蔬(채소,나물채,나물소) 野菜(야채,들야) 菜食(채식) 4. 光彩(광채,빛광,채색채) 多彩(다채) 水彩畵(수채화,그림화) 5. 浮上(부상,뜰부) 浮沈(부침,가라앉을침) 浮萍草(부평초,개구리밥평) 6. 孵化(부화,알깰부)..
-
爭(다툴)와 唐(갑자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7. 05:30
(爭)다툴쟁 (錚)쇠소리 쟁 (諍)간할 쟁 (淨)깨끗할 정 (靜)고요할 정 / (唐)갑자기,당황할 당 (糖)사탕 당 (爭)다툴쟁 (錚)쇠소리쟁은 쇠로 다투는 (諍)간할 쟁은 말로 다투는 (淨)깨끗할 정은 물을 위해 다투는 (靜)고요할 정는 푸른 하늘을 위해 다투는 / (唐)갑자기,당황할 당 (糖)사탕 당은 쌀은 갑자기 변하는데 1. 競爭(경쟁,다툴경,다툴쟁) 戰爭(전쟁,싸울전) 爭取(쟁취,얻을취) 2. 錚盤(쟁반,쇠소리쟁,받침반) 3. 諫諍(간쟁,간할간,간쟁할쟁) 4. 淨潔(정결,깨끗할정,깨끗할결) 淸淨(청정,깨끗할청) 5. 動靜(동정,움직일동,고요할정) 靜寂(정적,고요할적) 鎭靜(진정,진압할진) 6. 唐突(당돌,갑자기당,부딪힐돌) 唐惶(당황,당황할당,두려워할황) 7. 雪糖(설탕,눈설,사탕탕) 血糖(혈당..
-
兼(겸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5. 06:13
(兼)겸할 겸 (謙)겸손할 겸 (嫌)싫어할,의심할 혐 (廉)청렴할,갑쌀 렴 / (侵)침범할 침 (浸)잠길 침 (寢)잘 침 (兼)겸할 겸 (謙)겸손할 겸은 말이 인격과 겸비하여 (嫌)싫어할,의심할 혐은 여자를 겸하여 사귀면 (廉)청렴할,값쌀 렴는 집안에서 밥상을 겸할 정도로 / (侵)침범할 침은 사람이 빗자루에 손으로 잡고 (浸)잠길 침은 많은 물이 빗자루의 손잡이를 (寢)잘 침은 집의 나무조각에 만든 침대를 빗자루를 손으로 쓸고 1. 兼備(겸비,겸할겸,갖출비) 兼業(겸업,직업업) 兼任(겸임,맡을임) 2. 謙虛(겸허,겸손할겸,빌허) 謙讓(겸양,사양할양) 3. 嫌惡(혐오,싫어할혐,미워할오) 嫌疑(혐의,의심할혐,의심할의) 4. 淸廉(청렴,깨끗할청,청렴할렴) 廉恥(염치,부끄러울치) 廉價(염가, 값쌀렴) 低廉(저..
-
君(임금)와 聿(붓)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4. 04:52
(君)임금 군 (郡)고을 군 (群)무리 군 / (律)법률,음률 률 (筆)붓 필 / (建)세울 건 (健)건강할 건 (鍵)열쇠 건 (君)임금 군은 입으로 다스리는 사람 (郡)고을 군은 임금이 다스리는 고을이 (群)무리 군은 임금을 따르는 양의 (律)법률,음률 률은 행할 것을 붓으로 적은 (筆)붓 필은 대나무로 만든 붓은 (建)세울 건은 붓으로 길게 써가며 계획을 (健)건강할 건은 사람의 몸이 바로 세워야 (鍵)열쇠 건은 철이 꼿꼿이 세워진 것을 1. 君臣(군신,임금군,신하신) 君子(군자,접미사자)임금같은 덕행이 있는 사람 郎君(낭군,사내랑,남편군) 2. 郡民(군민,고을군) 郡守(군수,지킬수) 軍需(군수,군사군,쓰일수) 3. 群島(군도,무리군,섬도) 群衆(군중,무리군,무리중) 群鷄一鶴 (군계일학,닭계,학학) ..
-
書(글)와 帚(빗자루)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3. 04:38
(書)글 서 (晝)낮 주 (畵)그림 화 (劃)그을 획 / (掃)쓸 소 (婦)며느리 부 (歸)돌아올 귀 (書)글 서는 붓으로 말하는 (晝)낮 주은 붓으로 그리는 해솟는 (畵)그림 화는 붓으로 밭을 (劃)그을 획은 그림을 칼로 / (掃)쓸 소는 손에 빗자루를 들고 (婦)며느리 부는 빗자루를 드는 여자는 (歸)돌아올 귀는 눈으로 그쳐 쌓인 것을 빗자루로 쓸며 1. 書記(서기,글서,기록할기) 書簡(서간,대쪽간) 書堂(서당,집당) 2. 晝間(주간,낮주,사이간) 晝耕夜讀(주경야독,밭갈경,밤야,읽을독) 3. 畵家(화가,그림화,사람가) 畵室(화실,방실) 4. 計劃(계획,계산할계,그을획) 企劃(기획,도모할기) 區劃(구획,나눌구) 5. 淸掃(청소,깨끗할청,쓸소) 一掃(일소) 掃蕩(소탕,거침없을탕) 6. 主婦(주부,주될주,..
-
石(돌)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2. 05:13
(石)돌 석 (硏)갈 연 (破)깨뜰릴 파 (拓)넓힐 척,본뜰 탁 (碧)푸를 벽 / (墮)떨어질 타 (隨)따를 수 (石)돌 석은 언덕밑에 돌을 (硏)갈 연은 돌을 2개 방패를 연결한 것처럼 평평하게 (破)깨뜰릴 파은 돌은 가족처럼 단단하면 (拓)넓힐 척,본뜰 탁은 손으로 돌을 채워서 (碧)푸를 벽은 흰옥은 돌처럼 희다 못해 (墮)빠질 타은 떨어져 흙에 (隨)따를 수은 떨어져 가며 1. 石造(석조,돌석,만들조) 化石(화석,될화) 石器(석기,그릇기) 2. 硏磨(연마,갈연,갈마) 硏究(연구,생각할구) 硏修(연수,닦을수) 3. 破壞(파괴,깨뜰릴파,무너질괴) 破損(파손,상할손) 讀破(독파,읽을독) 4. 干拓(간척,막을(방패)간,넓힐척) 拓本(탁본,본뜰탁,책(종이)본) 5. 碧溪水(벽계수,푸를벽,계곡계) 桑田碧海(상..
-
行(다닐)와 幹(줄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1. 04:39
(行)다닐,행할 행 (衝)부딪칠 충 (衛)지킬 위 (衡)저울 형 / (幹)줄기 간 (乾)마를 건 (韓)한국 한 (行)다닐,행할 행는 사거리로 다니는 형상 (衝)부딪칠 충은 무거운 것을 들고 가다가 (衛)지킬 위은 어긋나게 바꿔 다니며 (衡)저울 형은 물고기처럼 떠서 균형을 행하는 (幹)간부,줄기 간은 해 돋아 사람과 방패를 관리하는 (乾)하늘,마를 건은 해 돋아 사람과 새를 살게 하는 (韓)한국 한은 해돋는 곧에 위대한 사람들은 1. 行動(행동,행할행,움직일동) 行爲(행위,행할행,될위) 2. 衝擊(충격,부딪칠충,칠격) 衝突(충돌,부딪칠돌) 緩衝(완충, 늦출완) 3. 衛兵(위병,지킬위,병사병) 衛生(위생,살(날)생) 防衛(방위,막을방) 4. 衡平(형평,저울형,평평할평) 均衡(균형,고를균) 5. 幹部(간부,..
-
韋(가죽,어길)와 朝(아침)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31. 05:07
(偉)클 위 (緯)씨실 위 (違)어길 위 (圍)둘레 위 / (朝)아침 조 (潮)조수 조 (廟)사당 묘 (偉)클 위은 일반사람과 어긋나서 (緯)씨실 위는 실중에서 날실과 어긋나는 (違)어길 위는 가는 곳이 맞지 않는 (圍)둘레 위는 가죽을 쌓은 (朝)아침 조 (潮)조수 조는 물이 아침에 나가는 것이 (廟)사당 묘은 집안에 아침에 제사 지내는 곳을 1. 偉人(위인,클위) 偉大(위대) 2. 緯度(위도,가로(씨실같은)위,정도도) 經緯(경위,세로(날실)경) 3. 非違(비위,아닐비,어긋날위) 違約(위약,약속(묶을)약) 違反(위반) 4. 周圍(주위,두루주,둘레위) 包圍(포위,쌀포,둘러쌀위) 5. 朝刊(조간,아침조,책펴낼간) 朝會(조회,아침조,모일회) 朝食(조식) 朝廷(조정, 뵐조,관청정) 6. 潮流(조류,조수조,흐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