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殳(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7. 6. 05:02
(役)부릴 역 (投)던질 투 (段)계단 단 (殺)죽일 살,빠를,감할 쇄 (設)세울 설 (過)지날칠,허물 과 (禍)재앙 화 (役)부릴 역는 가서 치며 (投)던질 투는 손으로 치며 (段)계단 단은 언덕을 치며 만든 (殺)죽일 살,빠를,감할 쇄는 나무를 베고 쳐서 (設)세울 설는 말로 치며 주장을 (過)지날칠,허물 과는 비뚤어져 지나가니 (禍)재앙 화는 신이 비뚤어진 사람에게 주는 1. 役割(역할,부릴역,벨할) 苦役(고역,쓸고) 兒役(아역,아이아,역할역) 2. 投資(투자,던질투,재물자) 投手(투수,사람(손)수) 投擲(투척,던질척) 3. 段階(단계,계단단,섬돌계) 昇段(승단,오를승) 4. 殺蟲(살충,죽일살,벌레충) 殺到(쇄도,빠를쇄,이를도) 減殺(감쇄,덜감,감할쇄) 5. 設計(설계,세울설,계산계) 設備(설비,갖..
-
夬(터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7. 5. 03:20
(快)상쾌할 쾌 (決)터질,정할 결 (缺)빠질 결 (訣)이별할, 비결 결 (微)작을,숨을 미 (徵)부를 징 (懲)징계할 징 (快)상쾌할 쾌은 마음이 터지는 듯 (決)정할, 터질 결은 물이 터지는 곳을 빨리 (缺)빠질 결은 장군이 터지면 군기가 (訣)이별할,비결 결은 말을 터놓고 얘기하고 (微)작을,숨을 미 (徵)부를 징은 작지만 힘이 있으면 왕으로 (懲)징계할 징은 불러서 뉘우치는 마음이 들도록 1. 快樂(쾌락,상쾌할쾌,즐거울락) 快晴(쾌청,갤청) 明快(명쾌,밝을명) 2. 解決(해결,풀해,정할결) 票決(표결,표표) 決裂(결렬,터질결,찔어질열) 3. 缺乏(결핍,빠질결,모자랄핍) 缺陷(결함,빠질함) 缺席(결석,자리석) 4. 訣別(결별,이별할결,떨어질별) 永訣式(영결식,오랠영,의식식) 要訣(요결, 요할요,비결..
-
央(가운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7. 3. 07:49
(央)가운데 앙 (殃)재앙 앙 (映)비출 영 (英)꽃부리 영 (風)바람,풍속 풍 (楓)단풍 풍 (央)가운데 앙은 중간사람이 어디에 서있어 (殃)재앙 앙은 죽음 가운데 빠지는 (映)비출 영는 해가 가운데 (英)꽃부리 영은 풀이 가운데 (風)바람,풍속 풍은 보통 벌레를 옮기는 (楓)단풍 풍는 찬바람에 나뭇잎에 물든 1. 中央(중앙,가운데중,가운데앙) 2. 災殃(재앙,재앙재,재앙앙) 3. 映畵(영화,비출영,그림화) 反映(반영,돌이킬반) 放映(방영,놓을방) 4. 英才(영재,꽃부리영,재주재) 英靈(영령,혼령령) 育英(육영,기를육,뛰어날(영재)영) 5. 暴風(폭풍,사나울폭,바람풍) 美風良俗(미풍양속,풍속속,좋을양, 풍속속) 風景(풍경,경치풍,볕경) 風貌(풍모,모습풍,모양모) 6. 丹楓(단풍,붉을단,단풍풍) 楓嶽山(..
-
向(향할)와 尙(높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7. 2. 05:05
(向)향할 향 (尙)높일 상 (常)늘 상 (裳)치마 상 (堂)집,당당할 당 (當)마땅할 당 (向)향할 향은 성 입구로 (尙)높일 상은 작은 것을 향하는 것이 (常)늘 상은 숭상하는 것은 보호하기 위해 수건을 (裳)치마 상은 여자가 숭상하는 옷은 (堂)집,당당할 당은 땅을 높혀 짓는 (當)마땅할 당은 밭은 높이는 것은 1. 向方(향방,향할향,방향방) 向後(향후,뒤후) 趣向(취향,뜻취) 2. 尙武(상무,높일상,굳셀무) 崇尙(숭상,높일숭) 3. 恒常(항상,늘항,늘상) 常識(상식,보통상,알식) 非常(비상) 4. 衣裳(의상,옷의,치마상) 同價紅裳(동가홍상, 같은값이면 다홍치마) 5. 講堂(강당,익힐강,집당) 殿堂(전당,대궐전,집당) 正正堂堂(정정당당,당당할당) 6. 當然(당연,마땅할당,그러할연) 當爲(당위,될위)..
-
尙(높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7. 1. 03:30
(賞)상줄 상 (償)갚을 상 (掌)손바닥 장 (黨)무리 당 (嘗)맛볼 상 (賞)상줄 상은 높혀 재물로 (償)갚을 상은 공을 세운 사람에게 상을 주어 (掌)손바닥 장은 높혀 손에 쥐어다 펴는 (黨)무리 당은 높을 뜻을 위해 어두운 현실에 모인 (嘗)맛볼 상은 높은 맛을 내려고 1. 償金(상금,상줄상,돈금) 信賞必罰(신상필요,반드시필,벌벌) 傷春客(상춘객,구경할상,봄춘,손님객) 2. 償還(상환,갚을상,돌려줄환) 補償(보상,갚을보) 辨償(변상,가릴변) 3. 掌匣(장갑,손바닥장,상자갑) 掌握(장악,쥘악) 合掌(합장,합할합) 4. 臥薪嘗膽(와신상담,누울와,섶나무신,맛볼상,쓸개담) 5. 朋黨(붕당,벗부,무리당) 黨派(당파,물갈래파) 作黨(작당,지을작)
-
內(안)와 肉(고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30. 03:21
(內)안 내 (納)들일 납 (肉)고기 육 (丙)남쪽 병 (兩)두 량 (滿)찰 만 (內)안 내는 성안으로 들어간 (納)들일 납을 실을 안으로 (肉)고기 육는 고기덩어리에 근육모양 (丙)남쪽 병은 하늘에서는 안이 (兩)두 량는 하나의 성을 둘로 나누니 (滿)찰 만은 물이 풀처럼 양쪽에 1. 內容(내용,안내,담을용) 內科(내과,분과과) 外柔內剛(외유내강, 부드러울유,굳셀강) 2. 納付(납부,바칠(들일)납,줄부) 返納(반납,돌아올반) 納稅(납세,세금세) 3. 獸肉(수육,짐승수,고기육) 肉體(육체,몸육,몸체) 肉感(육감,느낄감) 4. 丙種(병종,천간병,갈래종) 丙子胡亂(병자호란, 병자년 오랑캐란) 5. 兩班(양반,두양,나눌반) 兩面(양면,면면) 兩立(양립,설립) 6. 滿期(만기,찰만,기간기) 圓滿(원만,둥글원,(..
-
同(같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29. 05:03
(同)같을 동 (銅)구리 동 (洞)마을,동굴 동, 밝을 통 (足)발 넉넉할 족 (促)재촉할 촉 (捉)잡을 착 (同)같을 동은 성안에서 하나의 출입구로 (銅)구리 동은 금과 같은 색의 금속은 (洞)마을,동굴,밝을 동와 밝을 통은 물을 같이 쓰는 (足)발,넉넉할 족는 무릎부터 발까지 본떠 (促)재촉할 촉은 사람이 발까지 구루며 (捉)잡을 착은 손으로 발목을 1. 表裏不同(표리부동,겉표,속리,같을동) 同苦同樂(동고동락,괴로울고) 2. 銅鏡(동경,구리동,거울경) 銅錢(동전,돈전) 3. 洞里(동리,마을동,마을리) 洞窟(동굴,동굴동,굴굴) 洞察(통찰,밝을통,살필찰) 4. 手足(수족,손수,발족) 滿足(만족,찰만,넉넉할족) 安分知足(안분지족, 편안할안,분수분,알지) 5. 促求(촉구,재촉할촉,구할구) 促迫(촉박,닥칠박)..
-
是(옳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28. 05:06
(是)옳을 시 (提)끌 제 (堤)제방 제 (題)제목,문제 제 (楚)회초리 초 (礎)주춧돌 초 (是)옳을 시은 해처럼 밝고 바르면 (提)끌 제는 손으로 옳은 것을 (堤)제방 제는 흙으로 물이 옳게 흐르게 쌓은 (題)제목,문제 제은 내용을 옳게 알수 있는 글의 머리 (楚)회초리 초는 수풀속에서 발을 때리는 (礎)주춧돌 초는 회초리로 돌로 때려도 흔들리지 않은 튼튼한 1. 是非(시비,옳을시,아닐비) 是認(시인,인정할인) 2. 提高(제고,끌제,높일고) 提示(제시,보일시) 提供(제공,바칠공) 3. 防波堤(방파제,막을방,물결파,제방제) 堤堰(제언,둑언) 4. 題目(제목,제목제,항목목) 主題(주제,주될주) 宿題(숙제,오랠숙,문제제) 5. 苦楚(고초,괴로울고,회초리초) 淸楚(청초,맑을청,고울초) 6. 礎石(초석,주춧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