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塗炭之苦(도탄지고)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8. 3. 05:00
塗炭之苦(도탄지고) - 진흙도, 숯탄, 어조사지, 괴로울고 진흙과 숯의 고통이라는 말로 군주의 포학한 정치로 인해 백성이 아비규환의 고통을 당하는 것을 가리킨다. 도탄으로 줄여 쓰기도 한다 서경에 나오는 것으로 고대 중국에서 군주가 갖추어야 할 도를 잃고 포악한 정치만을 일삼은 이로는 하나라 걸왕과 은나라 주왕이 대표적이다. 걸왕은 요염한 자태를 뽐내던 미녀 말희를 총애하며 음란한 생활에 빠져서 주지육림을 만들고 향락을 일삼았으며 백성들에게는 포악한 정치를 했다 탕왕의 신하 중 중훼가 걸왕을 가리켜 이런 말을 했다. 하나라에는 덕을 어둡게 하는 자가 있어 백성이 도탄에 빠졌다. 결국 백성의 질고를 가슴 아파한 은나라 탕왕은 걸왕을 무너뜨리기로 결심하고는 병사를 일으키면서 백성들 앞에서 이렇게 말했다. 내..
-
無(없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8. 2. 04:14
(無)없을무 (撫)어루만질무 (蕪)거칠무 (舞)춤무 (無)없을무는 사람이 장작불로 재로 (撫)어루만질무는 손으로 불평을 없애기 위해 (蕪)거칠무는 풀이 질서없이 우거져 (舞)춤무는 저녁에 말없이 하는 1. 無難(무난,없을무,어려울난) 無情(무정,정정) 無人耭(무인기,기계기) 2. 愛撫(애무,사랑애,어루만질무) 撫摩(무마,문지를마) 3. 荒蕪地(황무지,거칠황,거칠무,땅지) 4. 按舞(안무,생각할(어루만질)안,춤무) 舞蹈會(무도회,춤출도,모일모) 舞臺(무대,대대)
-
齊(가지런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7. 26. 04:34
(齊)가지럴할,모두제 (濟)건널,구제할제 (劑)약제제 (齋)재개할재 (齊)가지럴할,모두제는 벼이삭이 가지런한 모습 (濟)건널,구제할제는 물길이 가지런할 때 (劑)약제제는 약초를 가지런히 칼로 썰어 지은 (齋)재개할재는 마음을 가지런히 하며 작은 일에도 조심하여 1. 齊唱(제창,모두제,부를창), 修身齊家治國平天下(수신제가치국평천하) 2. 救濟(구제,구할구,구제할제) 濟度(제도,구제할제,법도도)-중생을 제도하다 / 制度(제도,만들(마를)제,법도도) 사회제도, 법률제도 3. 調劑(조제,조합할조,약제제) 洗劑(세제,씻을세) 4. 沐浴齋戒(목욕재계,머리감을목,목욕할욕,삼가할재,경계할계) 書齋(서재,책서,방재)
-
番(차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7. 21. 06:07
(番)차례번 (蕃)번성할번 (飜)뒤집을번 (審)살필심 (番)차례,지번번은 나눈 밭에 붙인 (蕃)번성할번는 풀이 차례로 (飜)뒤집을,옮길번는 차례로 날아가 (審)살필심은 집안을 차례로 1. 當番(당번,맡을당,차례번) 番號(번호,차례호) 地番(지번,땅지) 2. 蕃盛(번성,무성할번,성할성) = 繁盛(번성,많을번,담을(성할)성) 3. 飜覆(번복,뒤집을번,뒤집을복) 飜譯(번역,옮길번,옮길역) 飜案(번안,생각안) 4. 審査(심사,살필심,조사할사) 審問(심문,물을문 -판사가 심문기일 - 진술기회 주고 심사한다는) - 訊問(신문,캘신 - 일반적인 표현) : 비슷의미 審理(심리,처리(다스릴)리 -판사의 심리) - 心理(심리,이치리 - 마음상태)
-
委(맡길)와 秋(가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7. 18. 04:48
(委)맡길위 (萎)시들위 (倭)왜국왜 (矮)키작을왜 (秋)가을추 (鰍)미꾸라지추 (委)맡길위는 곡식을 여자에게 (萎)시들위는 풀을 남에 맡기면 (倭)왜국왜는 바깥일을 여자에 맡기는 나라는 (矮)키작을왜는 화살에 의지할 정도로 키가 (秋)가을추는 벼가 불에 타는 계절은 (鰍)미꾸라지추는 가을에 물고기는 1. 委任(위임,맡길위,맡길임) 委託(위탁,부탁할탁) 委員(위원,인원원) 2. 萎縮(위축,시들위,줄일축) 萎落(위락,떨어질락) 3. 倭寇(왜구,왜국(일본)왜,도둑구) 倭敵(왜적,원수적) 4. 矮軀(왜구,키작을왜,몸구) 矮小(왜소,작을소) 5. 秋夕(추석,가을추,저녁석) 秋毫(추호,머리털) 晩秋(만추,늦을만) 6. 鰍魚湯(추어탕,미꾸라지추,물고기어,끓일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