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어류
-
과메기의 거리인 구룡포에서 인기있는 꽁치 대신 청어에 대해 알아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어류 2022. 9. 8. 05:09
한반도 남북으로 나누어지기 전까지 청어는 우리의 겨울 밥상을 풍성하게 하는 생선이었다. 한류성 어류인 탓에 함경북도 청진을 중심으로 한 북쪽과 강원도와 경북 연안에 어장이 형성되었다. 특히 경북 포항 영일만이 청어의 주요 산란장으로 주목을 받았다. 1930-40년대 동해안에서 1년에 30-50만톤까지 어획되기도 했다. 경상도는 방렴으로 현재는 죽방렴의 전신아라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대나무를 쪼개서 발을 만들어 방렴을 설치해 멸치를 잡기 시작하면서 방렴은 죽방렴으로 불렀다. 청어는 조기가 어획되기 전인 2월부터 4월까지 소비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6.25전쟁 이후 어장이 축소되면서 청어 어획량도 1960년대 들어 수백톤에서 1천여톤으로 축소되었다 일본에서 수입하기도 했으며 출어비용을 지원하며 북태평..
-
한쪽 눈으로는 세상을 볼 수 없는 가자미에 대해 알아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어류 2022. 8. 19. 05:48
가자미목은 넙칫과, 가자밋과, 납서댓과, 참서댓과 등으로 나뉜다. 이중에서 가자밋과에 물가자미, 참가자미, 용가자미, 기름가자미 등이 다양하게 있다. 대부분 도다리를 가자미목을 총칭해 부르기에 헷갈리기 쉽다. 도다리와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는 넙치 역시 가자미목 넙칫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다. 이렇듯 가자미목에는 가자미나 넙치 외에 서대까지 자그마치 그종류가 500여종에 달한다. 도다리와 넙치는 사촌뻘 되는 생선이다.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가자미는 20여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중 넙치와 도다리를 제외하고 대부분은 자연산에 의존한다. 가자미는 오주연문장전산고에 접어라고 하였고 중국에서는 조선을 접역 즉 가자미의 나라라고 했다. 가자미는 한쪽만 바라보기에 짝을 맞춰야 온전한 눈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모..
-
돌아오지 않는 명태, 생태, 노가리에 대해서아들을 위한 인문학/어류 2022. 8. 4. 04:29
명태는 대구목 대구과에 속하는 한류성 어류다. 우리나라 동해 북부, 일본 북부, 오호츠크해, 베링해 등에 서식한다. 한때 동해를 대표하는 바닷물고기였다. 수심 수십미터에서 수백미터까지 서식하며 낮에는 1천미터까지 내려간다. 명태는 한 마리가 100마리 내외를 낳으며 알을 낳으면 인근에 수많은 물고기가 포식한다. 운이 좋아 깨어난 치어는 작은 새우와 오징어 등을 먹고 자란다. 4년이 지나면 40㎝가 자란다. 명태는 잡는 지역, 잡는 방법과 시기, 크기, 가공상태에 따라 다양한 이름을 갖고 있다. 함경도에서는 명태, 조태, 왜태, 애기태 등 강원도에서는 선태,강태, 간태라고 했다. 서울에는 동태라고 하였다. 조선후기 실학자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봄에 잡힌 것은 춘태, 겨울에 잡는 것은 동태, 동짓날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