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국내여행
-
불교와 천주교의 전파지역인 종교의 힐링 도시 당진을 찾아가 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국내여행 2022. 12. 10. 03:40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당나라와 교역하던 나루가 당진이다. 당진 시청사도 배 모양으로 항구도시의 특성을 반영해 지었다. 중국의 산둥성과 가까이에 접하고 있어 종교와 사상이 일찍이 전파되었다. 한편 내포지역은 당진을 포함한 서산, 예산, 태안 등 충남 서북부 지역을 가리킨다. 이 지역은 농업을 지역 발전의 근간으로 삼아왔고 삽교천 주변의 예당평야와 구릉지와 연결된 넓은 해안평야가 발달해 왔다 한편 붓으로 밭을 간다는 필경사는 심훈이 1932년 서울에서 이곳 당진 부곡리로 내려와 글을 쓸 때 직접 지은 집이다. 상록수는 브나로드 운동이 전개되던 시대의 상황을 담아낸 소설로 일제강점기에 농촌계몽운동과 민족주의를 고취시킨 작품이다. 당진시는 매년 10월 심훈의 상록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문화제와 추모제 등이 ..
-
서울 위성 베드타운에서 꿈을 이루는 문화도시 부천을 탐방해 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국내여행 2022. 12. 3. 03:45
어린이 만화 아기공룡 둘리는 부천시 상 1동 둘리의 거리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부천이 만화산업의 중심지임을 알리기 위해 2003년 부천시에서 둘리의 주민등록증을 상징적으로 만들어주었다. 현재 전국 만화 작가의 1/3이 부천에서 활동한다고 한다. 부천은 1970년대 초까지만 해도 인구 6.5만명에 불과했던 도시였으나 공업기능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위성도시로 개발되면서 급성장을 하게 된다. 이후 1990년대 중동 신도시, 2000년 초반에 상동 신도시가 들어섰다. 부천은 이러한 공업도시와 베드타운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시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추진한 정책이 문화정책이다. 이를 통해 도시발전의 원동력을 삼겠다는 것이다 부천시의 상징마크는 복사꽃(봉숭아꽃)이다 활짝 핀 복사꽃 잎은 부천시를 둘러싼 다섯 개의 ..
-
서울의 대표 한옥마을인 북촌과 익선동을 찾아가 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국내여행 2022. 11. 26. 03:23
한옥마을로 유명한 북촌은 종로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행정구역에도 없는 북촌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중심부에 위치한 청계천과 종로를 중심으로 위쪽을 북쪽, 그 아래쪽을 남촌이라고 했다. 북촌은 궁궐과 가까웠기 때문에 권력과 부를 가진 양반들이 모여 살았다. 하지만 지금의 북촌은 과거범위에서 축소되어 경북궁과 창덕궁 사이의 지역을 말한다. 이 북촌은 1930년 일제강점기때 만들어져 근대한옥 또는 도시형 한옥이라 불렀다. 그 당시 서울인구가 급증하자 주택난이 심해지자 부동산 개발회사들은 큰 대지의 한옥을 매입한 후 땅을 분할하여 여러채의 소규모 한옥을 지어 도시형 한옥마을을 만들어 유사한 공간 구조가 생겼다. 도시형 한옥은 전통한옥을 개량하여 수도와 전기가 들어오게 하고 대청에는 유리문을 설치했으며 바닥에는..
-
남북의 평화통일를 염원하며 세계생태평화공원을 꿈꾸는 철원을 탐방해 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국내여행 2022. 11. 19. 03:53
철원하면 지금도 전쟁, 분단, 휴전선, 비무장지대, 민간인 통제구역 등이 연상되는 경우가 많다. 철원은 해방 이후 한반도가 38선에 의해 남북으로 나뉠 때 38선 이북이었다가 전쟁이 끝나자 2/3이 대한민국 땅이 되었다 철원군은 강원도에서 소멸 위기가 가장 높은 기초자치단체이지만 이 지역의 특수성을 활용하여 안보관광, 생태관광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다섯 개의 지질공원 등이 있다 따라서 철원은 자연과 사람이 하나 되는 곳, 전쟁보다는 평화가 싹트는 새로운 곳으로 변모 중이다. 한편 소이산에서 북한을 바라보면 저 멀리 산봉우리들과 주변의 평탄한 곳이 보이는데 평균 해발고도가 330미터에 이르는 평강고원이다. 평강에서 철원으로 이어지는 평탄한 이 지역은 평강 부근의 680미터 고지와 오리산(453m)에서 분출..
-
남한강을 품고 있는 막내 도시인 여주를 찾아가 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국내여행 2022. 11. 12. 04:00
요즘 한강에 떠 있는 배들은 대부분 유람선이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한강을 통해 여러 물건을 실어나르는 배들이 무척 많았는데 국토의 70%가 산지인 우리나라의 지형 특성상 도로를 내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하천을 이용해 물자를 수송했다. 당시 한강의 4대 나루 중 두 개가 여주에 있었다. 조선시대의 여주는 수운으로 번성한 곳이었다. 임금님꼐 진상하던 쌀로 알려진 여주와 이천 지역의 평야에서 생산된 기름진 쌀과 남한강에서 잡힌 다양한 어류들, 그리고 강원도와 충청도에서 온 배들이 서로 모여 시장에 크게 열리던 지역이었다. 강원도 영월, 정선 등에서 온 뗏목은 목재를 가득 싣고 와 떼돈을 번다라는 말의 유래가 되었을 정도로 번성했다. 서해안에서부터 소금이나 새우젓을 싣고 온 배들은 이를 식량과 바..
-
지리산을 품은 사랑의 도시인 남원에 찾아가 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국내여행 2022. 10. 29. 04:25
남원의 중고등학교 중간고살를 춘향제 기간을 피해 치른다고 한다. 춘향제는 매년 음력 4월 8일 전후로 개최된다. 한편 남원시의 슬로건은 사랑의 도시 남원이다. 춘향전이 대표적으로 떠오르지만 남원에는 금오신화, 흥부전, 최척전, 혼불 등 사랑을 다룬 여러 이야기가 스며들고 있다. 옛 남원은 섬진강 유역의 대표적인 곡창지대로 주변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도시였다. 신라시대에는 광역시급에 해당하는 남원경이었다. 한편 춘향전은 작자와 정확한 창작시기는 알 수 없으나 예로부터 설화와 판소리로 전해지다 소설로 자리 잡았다고 보고 있다. 20세기에 이르러서는 시, 창극, 영화, 드라마. 오페라, 대중가요 등으로 재해석되며 고전을 넘어 현대인들에게도 널리 소비되는 문학작품이 되었다.. 남원의 춘향제는 다른 축제와 ..
-
강원도에서 혁신도시 이자 건강의 도시 원주를 탐방해 보면아들을 위한 인문학/국내여행 2022. 10. 22. 04:32
조선 초기인 1395년 지방행정구역을 정비할 때 강원도가 생겼다. 강릉의 강과 원주의 원을 따서 강원도로 정했다. 따라서 원주는 관찰사가 있는 감영이 설치되어 강원도의 중심이 되었다. 하지만 1896년 8도 체계가 13도 체제로 변경되면서 도청이 춘천에 들어서게 되었다. 같은 강원도에 있지만 강릉, 원주, 춘천은 서로가 최고라는 자부심이 강하다. 강릉은 영동지방 최고의 도시, 원주는 영서지방 최고의 도시, 춘천은 도청 소재지라는 긍지가 있다. 이 세 도시는 인구규모가 비슷하다가 혁신도시 표방으로 원주는 2017년 인구가 34만명이 되었다. 이 당시 강원도는 156만명이다. 강원도의 인구가 획기적으로 늘어난 것은 1995년 도농복합시가 되면서였다. 이때 주변 농촌지역이나 광업지역에서 산업시설이나 교육시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