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햇빛이 빗방울을 통과하면서 굴절하여 생기는 무지개는 달 무지개도 가능하다고아들을 위한 인문학/과학 2021. 10. 5. 04:41
햇빛이 빗방울을 통과하면서 휘어지면서 무지개가 생긴다. 이렇게 휘어지는 것을 굴절이라 하는데 굴절은 빛이 공기 중의 물방울을 통과할 때 일어난다. 물방울이 빛을 굴절시키면 빛은 서로 다른 주파수로 운동하는 여러 색으로 분산된다. 우리는 무지개에 일곱 가지 색이 있다고 배우지만 실제로는 하늘에서 빛을 반사하는 빗방울만큼이나 많은 색깔이 있다. 무지개는 폭 넓은 파장의 빛을 가지며 각도마다 관찰되는 빛이 다르다.
1차 무지개는 지평선 위로 40도에 나타나며 무지개 호의 중심이 태양과 정반대에 있다. 일몰일 때에는 햇빛이 비추는 각도 덕분에 지상에서 완전히 반원을 이루는 무지개를 관찰할 수 있다. 반면에 정오에는 해가 바로 머리 위에 오기 때문에 무지개를 볼 수 없다. 비행기에서는 빗방울이 관찰자 위쪽만이 아니라 아래에도 있기 때문에 완전히 원형의 무지개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쌍무지개인 2차 무지개는 빛이 무지개 안에서 한번 더 반사될 때 나타난다. 2차 무지개는 비교적 희미하고, 두 번 반사된 것이기 때문에 색깔의 순서가 1차 무지개와 반대이다. 2차 무지개는 1차 무지개보다 약 10도 정도 더 높은 곳에 나타난다. 3차 무지개와 4차 무지개도 관찰된 적이 있고 이론적으로는 13차까지 가능하다. 어떤 때에는 달빛도 밝게 비추어 무지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달 무지개는 대개 희미한 흰색 원호로 나타난다. 그리스 신화 속 아이리스는 천상의 메시지를 지상에 전하는 역할을 하는 무지개의 여신이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은 거짓을 하지 않지만 그것에 빙자한 것은 인간이라고 하는데 (0) 2021.11.12 소리는 어떻게 만들어지며 인간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영역은 어떻게 되나 ? (0) 2021.10.13 달의 중력은 지구의 1/6이라는데 우주의 수수께끼 만유인력은 무엇인가 (0) 2021.09.28 1969년 우주시대의 막을 올리는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까지 진행과정은 (0) 2021.09.17 리히터 6.0 이상은 심각한 지진이라는데 어떤 파동과 여진의 원리는 무엇인가 (0) 2021.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