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삯바느질하던 전문 업종인 침비가 있었다고 하는데 그들의 직업세계는아들을 위한 인문학/조선시대 직업들 2021. 9. 29. 04:57
관청의 여종이나 기생에게 바느질을 시키면 안 된다. 부득이 남의 손을 빌려야 한다면 침비(針婢)를 부르거나 침가(針家)에 가져가서 삯을 주고 맡겨라 - 정약용 <목민심서>
관청 소속 여종과 기생은 본연의 임무가 있으므로 사적인 일을 시키면 안 된다. 바느질감이 있거든 침비나 침가에 맡겨야 한다. 침비는 침선비(針線婢)라며 바늘과 실을 다루는 여종이다. 침비는 본디 왕실의 의복을 전담하는 상의원 소속 노비다.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화려한 옷은 이들이 만든 것이다. 바느질뿐 아니라 재단, 재봉, 다리미질까지 도맡았다. 장인으로 대우하여 침선장이라 부르기도 했다. 부잣집은 으레 전속 침선비를 두어 의복의 제작과 관리를 맡겼다. 침선비를 따로 둘 형편이 못 되면 침가라고 하는 삯바느질집을 이용했다. 삯바느질은 가난한 양반 여성의 몫이었다. 가난한 양반 여성들은 집에서도 할 수 있는 삯바느질을 선호했다. 바느질은 당시 여성의 기본소양이었다. 노비를 거느려 제손으로 바느질할 필요가 없는 양반 여성들도 시집가기 전에 모두 바느질을 익혔다. 남편의 실직을 대비한 일종의 직업훈련이다. 책 읽을 줄밖에 모르는 양반 남성들에 비하면 훨씬 유용한 기술이다. 일감도 넉넉했다. 옷가게가 따로 없던 시절이다. 옷이 필요하면 직접 만들거나 누군가에 부탁하는 수밖에 없다. 더구나 고급 의류는 전부 뜯어서 세탁해야 했으므로 빨래 한번 하면 바느질감이 수북이 쌓였다. 일자리가 필요한 여성들은 이 틈새를 파고들었다. 솜씨 좋은 사람은 선수(善手)로 불렀다. 삯바느질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상당한 집중과 인내가 필요하다. 한땀 한땀 정성을 다하기는 이태리 장인 못지않다. 가사노동과 병행해야 하니 시간을 줄이는 수밖에 없다. <북학의>저자 박제가는 열한살에 아버지를 잃었다. 혼로 남은 어머니는 삯바느질로 박제가의 공부를 뒤바라지했다. 훌륭한 선생이 있다는 소문을 들으면 돈을 아끼지 않고 모셔왔다. 사람들은 그가 가난한 줄도 몰랐다.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뒤 박제가는 회고했다. 등불을 켜고 어머니를 생각하면 새벽닭이 울도록 주무시지 않고 무릎을 꿇은 채 삯바느질하시던 모습이 떠오른다. 북학파의 핵심인물로 조선사회의 개혁안을 제시한 박제가의 성취는 모두 삯바느질의 어머니의 헌신 덕이었다. 장애인 여성도 삯바느질 덕택에 당당한 사회인으로 살아갔다. 조수삼의 <추재기이>에는 손가락이 모두 붙어 물건을 쥘 수 없는 여성이 등장한다. 선천적 합지증이었던 모양이다. 다행히 발가락이 가늘고 길어서 발을 손처럼 사용했다. 밖에 나갈때는 손에 신발을 끼우고 물구나무를 서서 걸어다녔다. 이 때문에 거꾸로 다니는 여자라는 별명이 붙었다. 그녀는 손으로도 놓기 어려운 자수를 발로 놓았다. 조수삼은 시를 지어 연민과 존경을 함께 보냈다. - 거꾸로 사는 인생도 고달픈 텐데 / 등불 앞에 앉아서 자수를 놓네 - 1970-80년대까지만 해도 박제가의 어머니처럼 삯바느질로 자식 공부를 뒷바라지한 어머니가 드물지 않았다. 허생의 아내처럼 무능력한 남편 대신 삯바느질로 생계를 꾸리는 여성 역시 많았다. 가난한 여성치고 삯바느질 경험이 없는 사람이 없을 정도다. 삯바느질이라는 직업이 조선시대 얼마나 많은 사람을 먹여 살렸는지 모른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조선시대 직업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나니는 도깨비 아니 난동자 심지어 막란이라는 막내에서 왔다고 하는데 (0) 2021.11.10 수모(首母)인 신부 도우미이자 주례자로 주로 어떤 일과 보수를 받았나 (0) 2021.11.01 조선시대 염색은 부의 상징으로 염색직업인 염모는 염색비용으로 얼마를 받았나 (0) 2021.10.21 조선시대 고가 사치품인 화장품 판매원인 매분구라는 직업이 있었는데 (0) 2021.10.18 2021년 10월 2일 과천에서 벌어지는 줄광대의 아주 특별한 여행 ‘판줄’ (0) 2021.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