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동물의 탈을 쓴 신 불곰에 대해서
    아들을 위한 인문학/동물 2025. 9. 23. 01:49

    곰은 다수의 문화권에서 경배와 사랑 그리고 존경을 받는다. 곰은 여덟 종이 있다. 나무를 잘 타고 수영을 잘하고 후각이 예민하고 악력이 강하고 호기심이 많다. 안데스의 안경곰을 제외하고 모두 북반구에 서식한다. 흰곰이 어슬렁대며 돌아다니는 북극권 한계선에서부터 말레이곰의 고향인 동남아시아 열대 우림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며 대부분 숲에 산다. 가장 널리 퍼진 종은 불곰으로 에스파냐에서부터 유라시아를 거쳐 일본 북부 지방에까지 분포한다. 회색곰으로 알려진 불곰의 아종은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서식한다. 식물, 동물, 무생물, 자연물에도 영혼이 깃들여 있다는 애니미즘은 전 세계에 걸쳐 종교적 믿음 체계를 일으켰다. 이들 문화권에서는 대개 물리적 세계와 영적 세계를 엄격히 구분하지 않으며 두 세계는 오갈 수 있다고 봤다. 기독교와 후일 이슬람교가 발흥하면서 이러한 토속신앙은 종종 이교로 규정되어 박해당하고 개종을 강요받으며 쇠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니미즘 관습 및 신앙이 완전히 뿌리뽑힌 때까지는 수세기가 걸렸다. 특히나 외진 시골 지역에서는 집요하게 살아남았다. 이들은 불곰을 힘과 불굴의존재로 바라보며 영적 세계의 한가운데에 놓고 불곰을 조상신 혹은 지도하는 영으로 섬기기도 한다

    핀란드의 이교도는 기독교화되기 전인 12세기와 13세기 내내 불곰을 신령한 동물로 숲의 수호자로 여겼다. 지금은 핀란드의 국가적 상징이기도 하다. 이런 관념을 중심적으로 표현한 것이 카르훈페이야이세트라는 의식이다. 먼저 곰을 제례적 절차에 따라 죽은 뒤 마을로 가져와 성대하게 잔치를 베푼다. 불곰 고기는 나누어 먹고 이빨은 나누어서 지니고 다닌다. 이것이 곰의 감각과 힘을 부여해줄 것이라고 믿어서다. 잔치가 끝나면 곰의 두개골과 뼈를 들고서 노래를 부르며 숲으로 행진한다. 두개골은 나무에 걸고 뼈는 매장한다. 이 의식은 곰에 대한 존중을 드러내는 한편, 인간이 자연을 지배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시베리아 토착민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불곰을 경배한다. 예밴크족은 곰이 세상의 창조주이며 인간에게 선물로 불을 주었다고 믿는다. 나브흐족은 새끼 곰을 포획해 마을의 일원으로 기르는 의식을 수행한다. 그러고 나서 곰에게 졔례복을 입히고 도축하는데 이 의식은 영적 세계로의 회귀를 상징하며 미래에 축복이 오리라는 희망을 심어준다. 불곰은 러시아 제국의 상징이다 훗카이도는 일본의 다섯 개의 주도 중 최북단에 위치한다. 토착민은 아이누족으로 시베리아에서 지협을 통해 건너와 2만년 전에 훗카이도에 정착했다. 아이누족은 수렵채집을 비롯해 농사를 지으며 여전히 여타 일본 지역과는 확연히 다른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시베리아 토착민처럼 아이누족 역시 불곰을 조상의 영혼으로 여겼는데 아이누족처럼 불곰도 물고기와 딸기류를 먹는 잡식 식성을 가지고 있어서다. 아이누족에게 곰이란 곰의 거죽과 털을 쓰고 세상에 찾아온 신이다. 아이누족의 제례인 이요만테는 겨울철에 새끼 곰을 잡아 오는 데서 시작한다. 곰은 마을의 일원으로 길러지며 인간의 음식을 먹이고 이따금 여성의 젖을 물리기도 한다. 2-3년을 기른 후에는 활을 쏴서 죽인 뒤 목을 매달았다가 참수한다. 이는 영혼을 해방하여 하늘로 되돌려보내는 의식이다. 한편 부족민은 모피와 가족을 얻는 기회이기도 하다. 그 후 부족민은 사흘간 잔치를 열어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면서 희생제의를 치른다. 그럼으로써 불곰은 부족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부족은 자연과 강한 연대를 맺는다. 한편 중국 중남부 지역에 서식하는 대왕 판다는 유일한 초식성 곰이다. 검은 털과 하얀 털이 어우러진 모습이 상징적인 동물이기도 하다 눈가에 검게 둘러진 무늬는 판다마다 크기와 형태가 제각각이라서 서로를 구분할 수 잇게 해준다

    무역으로 지중해를 석권한 물의 도시 베네치아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