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綠葉成音(녹엽성음)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2. 4. 6. 03:04
綠葉成音(녹엽성음) - 푸를록, 잎엽, 이룰성, 그늘음
푸른 잎이 그늘을 만든다는 말로 여자가 결혼하여 자녀가 많은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
송나라 계유공의 <당시기사> 두목편에 수록된 두목의 시에 나오는 말이다. 두목은 명문가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문학적 재주가 뛰어나 뒷날 호방하면서도 서정적인 시를 지어 대두 두보와 견주어 소두라고 일컬어지게 되었다. 그는 성품이 강직하고도 신중하며 사리에 밝았다
어느날 두목은 호주를 유람하다가 한 노파와 마주치게 되었다. 노파는 당시 열 살 남짓한 어린 여자아이를 데리고 가고 있었는데 그 아이는 두목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큼 아름다운 외모를 지니고 있었다. 두목은 자신도 모르게 그 아이에게 마음이 끌려 노파에게 말했다
이 아이를 10년 뒤에 제 아내로 맞이하고 싶습니다. 그러니 만일 10년이 지나도 제가 나타나지 않으면 다른 데로 시집을 보내십시오. 노파도 두목에게 호감이 가므로 흔쾌히 승낙했다. 그 뒤 두목이 다시 호주를 찾은 것은 14년이나 지난 뒤였다. 그녀의 행방을 수소문해보니 이미 3년 전에 다른 남자에게 시집가서 두 아이의 어머니가 되어 있었다. 두목은 실망과 안타까움으로 호주의 이곳저곳을 다니며 시 한수를 지어 자신의 마음을 나타냈다
그로부터 봄을 찾았으나 좀 늦게 갔기에
꽃다운 날 원망하여 슬퍼할 수도 없구나
거센 바람이 진홍색 꽃을 다 떨어뜨리고
푸른 잎이 그늘을 만들어 열매만 가득하네
이 칠언절구에서 꽃은 바로 두목이 아내로 맞이하려고 했던 그 소녀를 가리킨다. 두목은 자신이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게 그저 안타까울 뿐이었다. 현재 그녀가 아이들의 어머니가 되어 있는 모습을 푸른 잎이 그늘을 만들어 열매만 가득하네라고 비유적으로 표현했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壟斷(농단)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2.04.20 綠衣使者(녹의사자)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2.04.09 綠林(녹림)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2.04.02 老益壯(노익장)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2.03.30 老生常譚(노생상담)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2.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