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安(편안할),妾(첩),妻(아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22. 03:44
(安)편안할 안 (案)생각,계획 안 (宴)잔치 연 / (妾)첩 첩 (接)이을,대접할 접 / (妻)아내 처 (悽)슬퍼할 처 (安)편안할 안은 집에 여자가 있으면 (案)생각,계획 안은 나무위에 편안하게 (宴)잔치 연은 좋은 날에 편안하게 여는 (妾)첩 첩은 서있는 여자는 (接)맞이할 접은 첩의 손은 공손하게 (妻)아내 처 (悽)슬퍼할 처은 아내의 마음은 1. 安寧(안녕,편안할안,편안할녕) 安否(안부,아닐부) 2. 案件(안건,생각안,사건건) 方案(방안,방법방,계획안) 3. 宴會(연회,잔치연,모일회) 披露宴(피로연,열피,드러낼로) 4. 小妾(소첩,작을소,첩첩) 妻妾(처첩,아내처) 5. 待接(대접,대할대,맞이할접) 接近(접근,가까울근) 接觸(접촉,닿을촉) 6. 妻福(처복,아내처,복복) 賢母良妻(현모양처,현명할현,..
-
女(여자)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21. 04:30
(女)여자 녀 (好)좋아할 호 (如)같을 여 (恕)용서할 서 (奴)종 노 (努)힘쓸 노 (怒)성낼 노 (女)여자 녀는 두손 모으고 앉아 있는 (好)좋아할 호는 여자는 남자를 (如)같을 여는 여자의 말은 (恕)용서할 서는 같은 마음으로 남을 (奴)종 노는 여자의 손이 무엇이 닮았는가 (努)힘쓸 노는 종의 힘으로 (怒)성낼 노는 종의 마음은 1. 淑女(숙녀,정숙할(맑을)숙,여자녀) 婦女子(부녀자, 결혼한 (아내)부, 정숙한여자 자,접미사자) 2. 好感(호감,좋아할호,느낄감) 好評(호평,평할평) 愛好(애호, 사랑할애) 3. 如前(여전,같을여,앞전) 百聞不如一見(백문불여일견,들을문) 4. 容恕(용서,받아들일용,용서할서) 5. 奴婢(노비,종노,여자종비) 奴隸(노예,따를례) 賣國奴(매국노,팔매) 6. 努力(노력,힘..
-
勿(없을)와 易(바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20. 05:13
(勿)없을 물 (物)물건 물 (均)고를 균 (忽)문득,소홀할 홀 / (易)바꿀 역, 쉬울 이 (賜)줄 사 (勿)없을 물 (物)물건 물은 소를 없애서 얻는 것 (均)고를 균은 땅에 돌을 없애서 (忽)문득, 소홀할 홀은 없던 마음이 (易)바꿀 역, 쉬울 이는 해가 없어졌다 있기도 하여 (賜)줄 사는 재물을 쌀로 바꾸어 1. 勿論(물론,없을물,논할논) 勿念(물념,생각념) 2. 膳物(선물,드릴선,물건물) 物我一體(물아일체,나아,몸체) 3. 均等(균등,고를균,가지런할등) 均衡(균형,저울형) 平均(평균, 평평할평) 4. 忽然(홀연,문득홀,그러할연) 忽待(홀대,소홀할홀,대할대) 5. 交易(교역,바꿀교,바꿀역) 易地思之(역지사지,생각사) 安易(안이,평안할안,쉬울이) 6. 膳賜(선사,드릴선,줄사) 下賜(하사) 厚賜(후사..
-
昜(햇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19. 04:30
(陽)볕 양 (揚)날일 양 (楊)버들 양 (場)장소 장 (腸)창자 장 (暢)화창할 창 (湯)끊일 탕 (陽)볕 양은 언덕위에 비추는 햇살 (揚)떨칠 양은 손으로 햇살처럼 빛나게 날리고 (楊)버들 양은 햇살이 드는 나무는 (場)장소 장은 햇살이 드는 땅은 (腸)창자 장은 몸 속에 햇살처럼 길게 있는 (暢)화창할 창은 햇살이 넓게 펼쳐진 (湯)끊일 탕은 해가 오르는 물은 1. 陽曆(양력,볕양,책력력) 陽地(양지) 諒知(양지)양해해 알다 陽刻(양각,밝게 나타낼(볕) 양, 새길각) 2. 止揚(지양,그칠지,떨칠양) 高揚(고양) 讚揚(찬양,기릴찬) 立身揚名(입신양명) 3. 垂楊(수양,드리울수,버들양) 4. 廣場(광장,넓을광,장소장) 滿場一致(만장일치,찰만,이를치) 5. 肝腸(간장,간간,창자장) 胃腸(위장,밭통위) 僞..
-
句(글)와 敬(공경할)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17. 04:13
(句)글 구 (拘)잡을 구 (狗)개 구 / (敬)공경할 경 (警)경계할 경 (驚)놀랄경 (句)글 구는 몇마디씩 쌓아 입으로 읽는 (拘)잡을 구는 손을 구부려 (狗)개 구는 구부린 짐승인 (敬)공경할 경은 진실한 마음에 채찍질로 (警)경계할 경은 공손한 말은 (驚)놀랄 경은 공손한 말을 갑자기 1. 句節(구절,글구,마디절) 句讀點(구두점,글구,마디절,점점) 2. 拘禁(구금,잡을구,금지할금) 拘束(구속,묶을속) 球速(구속,공구, 빠를속) 3. 泥田鬪狗(이전투구,진흙이,싸울투,개구) 走狗(주구,달릴주) 4. 尊敬(존경,높힐존,공경할경) 敬老(경로,늙을로) 敬天愛人(경천애인) 5. 警鐘(경종,경계할경,종종) 巡警(순경,돌순) 警護(경호,보호할호) 警笛(경적,피리적) 6. 驚異(경이,놀랄경,다를이) 畏敬(외경,두..
-
包 (쌀)와 勺(작은 그릇)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16. 03:47
(包)쌀 포 (抱)안을 포 (胞)세포 포 (飽)배부를 포 (砲)대포 포 (酌)술 따를 작 (約)맺을 약 (的)과녁 적 (包)쌀 포는 뱀처럼 싸고 (抱)안을 포는 손으로 쌓고 (胞)세포 포는 몸을 싸고 있는 (飽)배부를 포는 쌓여 있는 밥을 먹으니 (砲)대포 포는 돌을 싸서 던지는 (酌)술 따를 작은 술은 작은 그릇에 (約)맺을,약속할 약은 그릇에 실을 놓고 (的)과녁 적은 흰 그릇에 목표는 1. 包裝(포장,쌀포,꾸밀장) 包含(포함,머금을함) 包括(포괄,묶을괄) 2. 抱擁(포옹,안을포,안을옹) 抱負(포부,질부)안고 진 계획 懷抱(회포,품을회) 3. 細胞(세포,가늘세,세포포) 僑胞(교포,더불살이교) 同胞(동포) 4. 飽食(포식,배부를포,먹을식) 飽滿(포만,배부를포,찰만) 飽和(포화, 고를(화합할)화) 5. ..
-
旬(열흘)와 曷(다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15. 04:30
(旬)열흘 순 (殉)따라 죽을 순 / (渴)마를 갈 (謁)뵐 알 / (逆)거스릴 역 (朔)달, 초하루 삭 (旬)열흘 순은 날을 합한 것은 (殉)따라 죽을 순은 죽은 뒤 열흘 뒤에 (渴)마를 갈은 물이 다하여 (謁)뵐 알은 말을 다하여 (逆)거스릴 역은 거꾸로 가는 (朔)초하루,달 삭은 달의 날이 거꾸러 가서 맨 앞날이 1. 初旬(초순,처음초,열흘순)-上旬(상순) 旬報(순보,알릴보) 七旬(칠순, 열번순) 2. 殉國(순국,따라죽을순) 殉敎(순교,종교(가르칠)교) 殉職(순직, 일직) 3. 渴望(갈망,마를갈,바랄망) 渴症(갈증,증세증) 枯渴(고갈,마를고) 4. 謁見(알현,뵐알,볼현) 拜謁(배알,절할배) 5. 逆境(역경,거꾸로역,지경경) 逆謀(역모,꾀할모) 叛逆(반역,배반할반) 6. 滿朔(만삭,가득찰만,달삭) 朔..
-
欠(모자랄,하품)와 次(다음)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14. 04:09
(欠)하품,모자잘 흠 (吹)불 취 (軟)연약할 연 / (次)다음,차례차 (恣)방자할 자 (姿)모습 자 (資)재물,신분자 (欠)하품,모자랄 흠 (吹)불 취는 하품하며 입으로 (軟)연약할 연은 차가 이지러질 정도로 (次)다음 차는 얼음에 하품 후 (恣)방자할 자는 본심 다음 가는 마음 (姿)모습 자는 다음 여자의 (資)재물,신분 자는 사람 다음으로 조개를 무엇이라 1. 欠缺(흠결,모자랄흠,빠질결) 2. 鼓吹(고취,북고,불취) 吹打(취타,칠타) 吹奏(취주,연주할주) 3. 柔軟性(유연성,부드러울유,연약할연) 軟骨(연골,뼈골) 4. 次善(차선,다음차,좋을선) 次期(차기,기간기) 次席(차석,자리석) 5. 恣行(자행,방자할자,행할행) 恣意(자의,뜻의) - 自意(자의) 6. 姿態(자태,모습자,모양태) 姿勢(자세,세력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