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慕藺(모린)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3. 5. 24. 03:23
慕藺(모린) - 사모할모, 골풀린
인상여를 사모한다는 말로 어질고 유능한 사람을 존경하고 흠모한다는 뜻이다
한나라 무제의 서남이 정책을 지지한 사마상여를 다룬 사기에 나오는 말이다. 사마상여는 촉군 성도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책 읽기를 좋아하고 격검을 배웠으므로 부모는 그를 견자라고 불렀다. 사마상여는 공부를 마치자 인상여의 사람됨을 사모하여 이름을 상여로 바꾸었다. 사마상여가 흠모한 인상여는 조나라의 대신으로 진나라 소양왕에게서 화씨벽을 지킨 인물이다
혜문왕때 진나라 소양왕이 조나라에 화씨벽(진귀한 옥)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억지로 빼앗으려고 거짓으로 성 열다섯 개와 화씨벽을 바꾸자고 제안했다. 조나라 왕은 세력이 큰 진나라의 의견을 받아들일 수도 받아들이지 않을 수도 없어 고심했다. 만일 진나라의 요구에 따른다면 화씨벽만 잃게 될테고 그러지 않을 경우에는 침략을 받을게 뻔했기 때문이다 그러던 참에 인상여에게 이일을 맡기게 되었는데 인상여는 왕명을 받아 화씨벽을 가지고 진나라로 들어가 소양왕의 간계를 간파하고 지혜롭게 힘껏 싸워서 다시 온전하게 가지고 돌아왔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目不見睫(목불견첩)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1) 2023.06.08 矛盾(모순)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3.06.01 明哲保身(명철보신)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3.05.17 名正言順(명정언순)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3.05.10 命世之才(명세지재)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