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明哲保身(명철보신)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 고사성어 2023. 5. 17. 03:47
明哲保身(명철보신) - 밝을명, 밝을철, 보전할보, 몸신
사태나 사리에 환하게 밝아서 자기의 신명을 위험한 자리에나 욕된 곳에 빠뜨리지 않고 잘 보전하는 것을 가리킨다
시경에서 나오는 말로 중산보가 주나라 선왕의 명을 받고 제나라로 성을 쌓으러갈 때 윤길보가 전송하면서 중산보의 덕을 찬양하며 이런 시를 지었다
엄숙하신 임금 명령은 중산보가 맡고
나라의 정치가 잘되고 안 됨을 중산보가 밝히네
밝고 밝게 그 몸 보전하며
자나깨나 오로지 한 사람만을 섬기네
명철은 본래 서경에서 은나라 무정의 성스러운 덕을 칭송하여 천하의 사리에 통하고 뭇사람보다 앞서 아는 이는 명철하다라고 한말에서 나왔다. 그리고 보신은 나오고 물러나는데 순리에 어긋남이 없는 것을 뜻하며 때로는 처세에 능한 사람을 가리킨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矛盾(모순)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3.06.01 慕藺(모린)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3.05.24 名正言順(명정언순)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3.05.10 命世之才(명세지재)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3.05.03 明眸皓齒(명모호치)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