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이 즐겁고 만족스러운 상태의 행복과 복의 어감 차이는 어떠한가아들을 위한 인문학/우리말 어감 2022. 6. 10. 02:37
누구나 살아가면서 행복을 좇지만 행복을 느끼는 방식이나 조건은 사람마다 다르다. 분명한 것은 그 어떤 행복도 확고하지도 영속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행복을 찾아가는 길은 여러갈래이지만 행복을 한마디로 압축할 수 있다. 행복은 즐겁거나 기뻐서 삶이 만족스럽게 느끼는 상태이다. 그렇다고 즐거움이나 기쁨 자체는 행복은 아니고 한 발 더 나아가 삶의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만족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복은 삶에서 누리는 좋은 운수를 가리킨다. 누군가 재물을 많이 가지고 있다면 재물 복을 타고난 것이고, 몸이 아주 건강하다면 건강 복을 타고난 것이다. 복은 삶을 풍요롭고 활기차게 해 주는 상서로운 힘이다.
이들의 차이점은 행복은 주관적인 감정이고 복은 객관적 현상이다 자식의 행복을 비는 것은 자식이 삶에 만족을 느끼며 살아가기를 기원하는 일이라면 자식이 복을 받기를 비는 일은 자식이 출세를 하거나 좋은 배우자를 만나거나 돈을 많이 벌기를 기원하는 일이다. 한편 행복은 그 느낌에 도취되나 복은 객관적으로 존재할 뿐이다. 행복은 마음먹기에 따라 얻을수도 잃을 수도 있지만 복은 생래적으로 가지는 것이나 초월적 존재나 힘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다
가진 것이 없어도 범사에 감사하며 사는 삶이 행복의 비결일 수 있지만 복의 비결이 될 수는 없다. 행복은 주관적이고 복은 객관적이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고는 가능하지만 행복 많이 받으세요는 맞지 않다.
행복하다와 복되다라고 하는데 행복하다는 즐겁거나 기뻐서 삶이 만족스럽다고 느껴지는 상태라면 복되다는 복을 받거나 누리고 있어 즐겁고 기쁘다는 것이다. 행복은 1895년 고종실록에 처음 나왔고 복은 중국 서경에서 5복으로 장수, 부유, 건강, 좋은 덕, 명대로 살다가 편안히 죽는 것을 가리켰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우리말 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에서 몸통을 움직여 나아가는 헤엄과 수영과 유영의 어감차이는 어떠한가 (0) 2022.06.14 의도를 가지고 행하는 행동과 행위의 어감 차이는 어떠한가 (0) 2022.06.03 해에서 퍼져 나오는 빛살로 햇빛과 햇볕과 햇살 어감 차이는 어떠한가 (0) 2022.05.31 출신 학교로 형성된 지배 집단의 학벌과 학력의 어감 차이는 어떠한가 (0) 2022.05.27 공정하지 못한 생각이나 견해의 편견과 선입견과 고정관념의 어감차이는 (0) 2022.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