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鳥(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5. 12. 03:59
(島)섬도 (鳳)봉황새봉 (鴻)기러기홍 (雁)기러기안 (應)응할응
(島)섬도는 새가 앉아있는 산이 있는 (鳳)봉황새봉은 안석(기대는 방석)에 새기는 하나의 새는 (鴻)기러기홍는 강에 사는 새는 (雁)기러기안는 바위틈에 사람처럼 예의바른 새는 (應)응할응은 기러기는 사람의 마음에
1. 島嶼(도서,섬도,섬서) 韓半島(한반도,나라한,반반) 列島(열도,여러,벌릴렬)
2. 鳳仙花(봉선화,봉황새봉,신선선,꽃화) 龍尾鳳湯(용미봉탕,용용,꼬리미,끓을탕)
3. 鴻鵠(홍곡,기러기홍,고니곡) 鴻基(홍기,클홍,터기)
4. 雁書(안서,기러기안,글서) 雁信(안신,소식,믿을신)
5. 應試(응시,응할응,시험시) 應急(응급,급할급) 應接室(응접실,대접할접,방실)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雚(황새)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5.23 萑(풀많을,풀과새)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5.16 雜(새,섞일잡)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5.09 推(새,밀추)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5.02 多多益善(다다익선)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2.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