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斗와 收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3. 8. 03:09
(斗)국자,말 두 (科)조목,과정 과 (料)헤아릴,재료 료 (斜)기울일 사 / (收)거둘 수 (糾)얽힐,모일,살필 규 (叫)부르짖을 규 (斗)국자,말 두 (科)조목,과정 과는 벼를 말로 나눈 (料)헤아릴,재료 료는 쌀을 말로 (斜)기울일 사는 남은곡식을 말로 (收)거둘 수는 얽힌 열매를 쳐서 (糾)얽힐,모일,살필 규는 실처럼 얽힌 (叫)부르짖을 규는 입이 얽히여 1. 北斗七星(북두칠성,국자두,별성) 泰山北斗(태산북두,클태) 2. 科擧(과거,과목과,들거) 眼科(안과,눈안) 敎科書(교과서, 가르칠교,글서) 3. 思料(사료,생각할사,헤아릴료) 材料(재료,재목재,재료료) 無料(무료, 값료) - 無聊(무료,즐길료) 4. 斜陽(사양,기울사,볕양)-辭讓(사양,물러날사,넘겨줄양) 斜線(사선,줄선) 傾斜(경사,기울경,기..
-
米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3. 7. 03:38
(米)쌀 미 (粉)가루 분 (精)찧을,정밀할 정 (粧)단장할 장 (迷)헷갈릴 미 (菊)국화 국 (米)쌀 미 (粉)가루 분은 쌀을 나눈 (精)찧을,정밀할 정은 쌀을 푸른 빛이 나도록 (粧)단장할 장은 집안의 쌀가루와 흙으로 (迷)헷갈릴 미는 쌀을 갖고 달리는데 (菊)국화 국은 싸인 쌀과 풀처럼 생긴 1. 米飮(미음,쌀미,마실음) 米壽(미수,목숨수) 88살 2. 粉食(분식,가루분,먹을식) 粉碎(분쇄,부술쇄) 粉骨碎身(분골 쇄신,뼈골,부술쇄,몸신) 3. 精油(정유,정밀할정,기름유) 精讀(정독,읽을독) 搗精(도정,찧을도,찧을정) 精米(정미,쌀미) 4. 粧飾(장식,단장할단,꾸밀식) 裝飾(장식,꾸밀장)실내장식 治粧 (치장.매만질(다스릴,치료할)치) 內粧(내장)아파트 내장공사 內藏(내장,감출장)칩 내장 內臟(내장) ..
-
齊, 派, 歷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3. 6. 03:29
(齊)가지런할 제 (濟)건널,구제할 제 (劑)약 제 / (派)물갈래, 파벌 파 (脈)혈관,줄기 맥 / (歷)지낼 력 (曆)책력 력 (齊)가지런할 제 (濟)건널,구제할 제는 물이 가지런할 때 (劑)약 제는 칼로 가지런히 만드는 (派)물갈래,파벌 파는 나무뿌리 사이로 물이 갈라져 (脈)혈관,줄기 맥은 나무뿌리처럼 생긴 몸의 (歷)지낼력은 바위근처 조용한(멈쳐진) 벼들을 (曆)책력 력은 바위근처 벼들을 보며 날을 확인하는 1. 修身齊家(수신제가,닦을수,몸신,가지런할제,집가) 齊唱(제창, 부를창) 2. 救世濟民(구세제민,구원할구,구제할제) - 救濟(구제) 3. 殺蟲劑(살충제,죽일살,벌레충,약제), 調劑(조제,고를조) 4. 派遣(파견,보낼(물갈래)파,보낼견) 派生(파생,갈래파,날생) 政派 (정파,정치정,파벌파) ..
-
麻와 民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3. 5. 03:07
(麻)삼,마약 마 (磨)다를,갈 마 (摩)문지를 마 (魔)마귀,마술 마 / (民)백성 민 (眠)잘 면 (眼)눈 안 (麻)삼,마약 마 (磨)다를 마는 돌에 삼을 갈아 (摩)문지를 마는 손으로 삼을 (魔)마귀 마는 삼모양의 귀신은 (民)백성 민 (眠)잘 면은 백성들이 눈을 감으면 (眼)눈 안은 멈추어진 눈동자는 바로 1. 麻醉(마취,마약마,취할취) 大麻草(대마초) 2. 磨滅(마멸,다를마,멸할멸) 磨耗(마모,줄모) 鍊磨(연마, 불릴련,갈마) 3. 摩擦(마찰,문지를마,비빌찰) 摩天樓(마천루,누각루) 4. 魔王(마왕,귀신마,왕왕) 魔術(마술,귀신마,재주술) 魔法(마법) 5. 民心(민심,백성민,마음심) 民意(민의,뜻의) 6. 休眠(휴면,쉴휴,잘면) 睡眠(수면,잘수) 不眠症(불면증,증세증) 7. 着眼(착안,붙을착,눈..
-
乃와 及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3. 4. 02:33
(乃)곧 내 (秀)빼어날 수 (透)통할 투 (誘)꾈 유 / (及)미칠 급 (級)등급 급 (吸)마쉴 흡 (乃)곧 내 (秀)빼어날 수는 곧 나온 벼가 (透)통할 투는 빼어난 사람은 어디를 가도 (誘)꾈 유는 빼어난 말로 (及)미칠 급 (級)등급 급은 실이 미치는 (吸)마쉴 흡은 입으로 미친는 것을 1. 人乃天(인내천,곧내) 2. 秀才(수재,빼어날수,재주재) 優秀(우수,뛰어날우) 憂愁(우수, 근심우,걱정할수) 秀麗(수려,고울려) 俊秀(준수,뛰어날준) 3. 透明(투명,통할투,밝을명) 透視(투시,볼시) 透徹(투철,뚫을 (통할)투,통할철)투철한 사명감 浸透(침투,스며들침) 4. 誘惑(유혹,꾈유,홀릴혹) 誘引(유인,끌인) 誘拐犯(유괴범,속일괴, 범할범) 5. 及第(급제.미칠급,집제) 과거에 합격하면 큰 집에 들어가 ..
-
禾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3. 3. 03:10
(私)사사로울 사 (和)화목할 화 (秩)차례 질 (香)향기 향 (秋)가을 추 (愁)근심 수 (利)이로울,날카로울 리 (梨) 배 리 (私)사사로울 사는 벼가 개인소유로 사사로운 (和)화목할 화는 벼를 같이 입으로 먹으면 (秩)차례 질은 벼를 잃지 않도록 (香)향기 향은 벼가 햇볕을 받아 (秋)가을 추는 벼가 불타는 하는 시기 (愁)근심 수는 가을에 느끼는 마음 (利)이로울 리는 벼를 칼로 베어 수확하면 (梨)배 리는 이로운 나무는 1. 公私多忙(공사다망,여럿공,사사로울사,많을다,바쁠망) 私利 私慾(사리사욕,이로울리,욕심욕) 2. 和解(화해,화목할화,풀해) 和音(화음,소리음) 調和(조화, 고를조) 3. 秩序(질서,차례질,차례서) 4. 香辛料(향신료,향기향,매울신,재료(거리)료) 芳香劑(방향제, 꽃다울방,약제..
-
番와 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3. 2. 02:39
(番)차례,번지번 (播)씨뿌릴,퍼뜨릴 파 (審)살필 심 / (相)서로,모습,볼,재상 상 (想)생각할 상 (番)차례,번지번 (播)씨뿌릴파는 손으로 차례로 (審)살필 심은 집에서 차례로 (相)서로 상은 나무목을 (想)생각할 상은 서로의 마음을 1. 地番(지번,땅지,차례번) 當番(당번,맡을당) 2. 播種(파종,뿌릴파,씨앗종) 直播(직파,곧을직) 傳播(전파, 전할전) 3. 審理(심리,살필심,이치리)법원심리 心理(심리)심리테스트 審査 (심사,조사할사) 4. 相扶相助(상부상조,서로상,도울부,도울조) 眞相(진상,진실로진, 모습상) 觀相(관상,볼관,얼굴(모습)상) 首相(수상,우두머리수,재상상) 5. 想念(상념,생각할상,생각할렴) 構想(구상,얽을구) 發想(발상,생길(필)상)
-
氏와 氐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3. 1. 04:36
(氏)뿌리,성씨 (紙)종이지 (昏)저물,어둘혼 (婚)결혼할 혼 / (低)낮을저 (底)밑 저 (抵)막을 저 (氏)뿌리,성 씨 (紙)종이 지는 실뿌리로 만든 (昏)저물,어둘혼은 뿌리 아래로 해가 들어가면 (婚)결혼할 혼은 여자가 저녁에 (低)낮을저는 사람이 밑에 있으니 (底)밑 저는 집밑에 (抵)막을 저로 손으로 밑바닥을 1. 創氏改名(창씨개명,비로서창,성씨,고칠개,이름명) 氏族(씨족, 계레족) 2. 紙幣(지폐,종이지,돈폐) 壁紙(벽지,벽벽) 3. 黃昏(황혼,누럴황,저물혼) 昏迷(혼미,미혹할미) 4. 請婚(청혼,청할청,결혼혼) 約婚(약혼,약속할약) 5. 低廉(저렴,낮을저,값쌀렴) 低俗(저속,속될속) 6. 底力(저력,밑저) 底意(저의,뜻의) 7. 抵抗(저항,막을저,막을항) 抵觸(저촉,닿을촉) 抵當(저당,맡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