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書(글)와 帚(빗자루)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3. 04:38
(書)글 서 (晝)낮 주 (畵)그림 화 (劃)그을 획 / (掃)쓸 소 (婦)며느리 부 (歸)돌아올 귀
(書)글 서는 붓으로 말하는 (晝)낮 주은 붓으로 그리는 해솟는 (畵)그림 화는 붓으로 밭을 (劃)그을 획은 그림을 칼로 / (掃)쓸 소는 손에 빗자루를 들고 (婦)며느리 부는 빗자루를 드는 여자는 (歸)돌아올 귀는 눈으로 그쳐 쌓인 것을 빗자루로 쓸며
1. 書記(서기,글서,기록할기) 書簡(서간,대쪽간) 書堂(서당,집당)
2. 晝間(주간,낮주,사이간) 晝耕夜讀(주경야독,밭갈경,밤야,읽을독)
3. 畵家(화가,그림화,사람가) 畵室(화실,방실)
4. 計劃(계획,계산할계,그을획) 企劃(기획,도모할기) 區劃(구획,나눌구)
5. 淸掃(청소,깨끗할청,쓸소) 一掃(일소) 掃蕩(소탕,거침없을탕)
6. 主婦(주부,주될주,아내부) 新婦(신부,새신) 夫婦(부부,남편부) 姑婦(고부,시어머니고,며느리부)
7. 歸家(귀가,돌아올귀) 歸結(귀결,결과(맺을)결) 歸路(귀로,길로) 歸鄕(귀향,고향향), 事必歸正(사필귀정,일사,반드시필,바를정)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兼(겸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5 君(임금)와 聿(붓)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4 石(돌)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2 行(다닐)와 幹(줄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1 韋(가죽,어길)와 朝(아침)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