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寺(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5. 24. 04:44
(寺)절사 (詩)시 시 (時)때 시 (侍)모실 시 (持)가질 지 (待)대접할 대 (特)특별할 특 (等)같을,무리,차례 등
(寺)절사는 땅에서 법도를 지키는 곳은 (詩)시 시는 절에서 나온 말은 마치 (時)때 시은 절에서 해의 위치에 따라 종을 치는데 이는 (侍)모실 시는 사람이 절에는 부처를 (持)가질 지는 손에 절의 염주를 (待)대접할 대은 천천히 걸어 절에 가면 시중을 들어 (特)특별할 특은 절에 소가 가면 (等)같을,무리,차례 등은 절에는 대나무가 가지런히
1. 寺院(사원,절사,집원) 寺刹(사찰,절찰) 山寺(산사)
2. 詩想(시상,시시,생각할상) 施賞(시상,베풀시,상상) 童詩 (동시,아이동)
3. 同時多發(동시다발,때시,발생할발) 時節(시절,마디절)
4. 內侍(내시,모실시) 侍女(시녀)
5. 持久力(지구력,가질지,오랠구) 持病(지병,병병) 所持品(소지품)
6. 待接(대접,대접할대,접할접) 待期(대기,기달릴대,기간기) 鶴首苦待(학수고대,학학,머리수,쓸고)
7. 特講(특강,특별할특,강의강) 特技(특기,재주기) 特出(특출,나아갈출)
8. 等號(등호,같을등,부호호) 等級(등급,같을등,등급급) 平等(평등, 평평할평) 귤 等(등,무리) 1等(등,차례)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反(거꾸로)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5.26 付(줄), 無(없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5.25 手(손), 才(재주)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5.22 夭(젊을), 制(억제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5.21 衣(옷)와 袁(옷챙길)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