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麻(삼)와 痲(저릴)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2. 6. 30. 05:05
(麻)삼마 (痲)저릴마 (摩)문지를마 (魔)마귀마 (靡)쓰러질미
(麻)삼마은 집 주위에 수풀처럼 자라는 (痲)저릴마는 병든 숲이 되면 (摩)문지를마는 삼을 손질하듯 (魔)마귀마는 마약 먹는 귀신같은 (靡)쓰러질미는 마약 먹어서 제정신이 아니어서
1. 大麻草(대마초,큰대,삼마,풀초)
2. 痲藥(마약,저릴마,약약) 痲醉(마취,취할취)
3. 摩擦(마찰,문지를마,비빌찰) 撫摩(무마,어루만질무) 按摩(안마,누를안)
4. 魔術(마술,마귀마,재주술) 惡魔(악마,악할악) 好事多魔(호사다마,좋을호,일사)
5. 風靡(풍미,쓰러질미 - 황금만능주의가 풍미(퍼짐)) 風味(풍미,맛미 - 음식의 풍미)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倒屣(도사)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2.07.06 東(동쪽)와 束(묶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7.04 道見桑婦(도견상부)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0) 2022.06.29 朱(붉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6.27 林(숲)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2.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