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來와 果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2. 28. 02:49
(來)올 래 (麥)보리 맥 (嗇)아낄 색 (墻)담 장 / (果)과실 과 (課)부과할,과정과
(來)올 래 (麥)보리 맥은 봄이 오면 천천히 거두는 (嗇)아낄 색은 돈은 들어와 돌기만 해서 (墻)담 장은 재물 아끼는 사람이 흙으로 (果)과실 과는 밭에 있는 나무는 (課)부과할 과는 과실에 말하는 것은
1. 來日(내일,올래,날일) 去來(거래,갈거) 傳來(전래,전할전)
2. 麥酒(맥주,보리맥,술주) 麥芽(맥아,싹아)
3. 吝嗇(인색,아낄인,아낄색)
4. 墻外(장외,담장,바깥외) 越牆(=墻)(월장,넘을월)
5. 靑果(청과,푸를청,과실과) 結果(결과,맺을결) 成果(성과,이룰성)
6. 課稅(과세,부과할과,세금세) 課程(과정,매길과,분량분)매겨진 일이나 공부 분량 - 대학과정 / 過程 (과정,지날과,경로정) 생산과정 課題 (과제,임무(제목)제)매겨진 임무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番와 相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3.02 氏와 氐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3.01 束, 東, 策 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2.27 未와 朱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2.26 重와 卑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