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弓(활)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11. 4. 04:24
(弓)활 궁 (引)끌 인 (弔)조문할 조 (弟)아우 제 (第)차례 제(弘)넓을 홍 (弱)약할 약 (夷)오랑캐 이
(弓)활 궁은 활모양을 본떠서 (引)끌 인은 활시위에 화살을 걸고 (弔)조문할 조는 활을 막대에 걸고 (弟)아우 제는 머리를 따고 활과 화살을 갖고 노는 (第)차례 제는 아우가 대나무에 그어 (弘)넓을 홍은 활시위를 내 앞으로 (弱)약할 약은 활 두 개에 화살을 두 개씩 끼워 쏘면 (夷)오랑캐 이는 크게 활 잘 쏘는 이는
1. 弓道(궁도,활궁,방법도) 洋弓(양궁,큰바다양)
2. 引上(인상,끌인,윗상) 引率(인솔,거느릴솔) 牽引(견인,끌견) 割引(할인,나눌할)
3. 弔問(조문,조문할조,물을문) 謹弔(근조,삼갈할근)
4. 兄弟(형제,형형,아우제) 妻弟(처제,아내처) 師弟(사제,스승사,제자제)
5. 第一(제일,차례제,하나일) 及第(급제,이를급)
6. 弘報(홍보,넓을홍,알릴보) 弘益人間(홍익인간,이로울익)
7. 虛弱(허약,허할허,약할약) 微弱(미약,작을미) 弱肉强食(약육강식)
8. 東夷(동이,동녘동,오랑캐이) 以夷制夷(이이제이,써이,누를제)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矢(화살)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11.08 求仁得仁(구인득인)에 대한 유래는 어떠한가 ? (0) 2021.11.06 弗(아닐)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11.01 成(이룰)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10.28 奇(기이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