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至(이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15. 05:38
(至)이를,지극할 지 (姪)조카 질 (致)이를 치 (室)방,집 실 (到)이를 도 (到)넘어질 도 (屋)집 옥 (臺)누각 대
(至)이를,지극할 지 (姪)조카 질는 딸 다음으로 이르는 자녀는 (致)이를 치는 지극히 치며는 (室)방,집 실은 지붕아래 이르면 (到)이를 도는 칼를 갖고 이르는 (倒)넘어질도는 사람이 칼를 갖고 가면 꼭 (屋)집 옥은 몸이 이르러 쉬는 (臺)누각 대는 선비입이 다물고 이르는 곳은
1. 至極(지극,이를지,다할극) 至毒(지독,독할독) 自初至終(자초지종, 부터자,처음초,까지지,마칠종)
2. 姪女(질녀,조카질) 堂姪(당질,집당)
3. 拉致(납치,끌어갈랍,이를치) 致富(치부,부유할부)
4. 浴室(욕실,목욕할욕,방실) 溫室(온실,따뜻할온) 室內(실내)
5. 到達(도달,이를도,이를달) 殺到(쇄도,빠를쇄) 用意周到(용의주도, 쓸용,뜻의,두루주)
6. 卒倒(졸도,갑자기졸,넘어질도) 倒置(도치,거꾸로도,놓을치)
7. 屋上(옥상,집옥) 洋屋(양옥,바다양)
8. 舞臺(무대,춤무,누각대) 寢臺(침대,잠잘침) 土臺(토대) 展望臺 (전망대,펼전,바라볼망)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鄕(시골)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17 幾(몇)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16 鬼(귀신)와 奚(어찌)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14 公(공평)와 參(참여)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12 台(기쁠)와 以(써)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