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台(기쁠)와 以(써)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11. 04:30
(怠)게으를 태 (殆)위태할,거의 태 (始)처음 시 (治)다스릴 치 / (以)써 이 (似)같을 사
(怠)게으를 태는 기쁜마음이 있으면 (殆)위태할,거의 태는 기뻐한 나머지 죽을 곳에 나아가면 (始)처음 시는 여자가 기뻐하는 이유는 남자와 (治)다스릴 치는 왕이 기쁜 마음으로 물을 / (以)써 이 (似)같을 사은 사람은 인간으로서
1. 怠慢(태만,게으를태,게으를만) 倦怠(권태,게으를권) 懶怠(나태, 게으를나)
2. 危殆(위태,위험할위,위태할위) 殆半(태반,거의태,반반)
3. 始動(시동,처음시,움직일동) 始作(시작) 始終一貫(시종일관, 마칠종,뚫을관)
4. 治安(치안,다스릴치,편안할안) 治療(치료,병고칠료) 完治(완치,완전할완)
5. 以後(이후,써이,뒤후) 以熱治熱(이열치열,열열,다스릴열)
6. 似而非(사이비,같은사,아닐비) 類似(유사,비슷할류) 近似(근사, 가까울근)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鬼(귀신)와 奚(어찌)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14 公(공평)와 參(참여)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12 禾(벼)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10 爰(당길)와 受(받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9 采(캘)와 孚(알깔)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