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采(캘)와 孚(알깔)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6. 8. 04:30
(采)모양채 (採)가릴,캘채 (菜)나물 채 (彩)채색 채 / (浮)뜰 부 (孵)알깔 부 (乳)젖 유
(采)모양채는 손톱으로 나무를 고르는 (採)가릴,캘채는 손으로 가려서 캐니 (菜)나물 채는 풀에서 골라서 캐는 것은 (彩)채색 채은 캔 나물은 머릿결처럼 빛나는 / (浮)뜰 부는 물에서 알깔고 (孵)알깔 부은 알이 깨고 (乳)젖 유는 알깨고 꼭지로 먹이는
1. 喝采(갈채,칭찬(꾸짖을)갈,모양채) 風采(풍채,모습풍)
2. 採用(채용,가릴채,쓸용) 採集(채집,모을집) 採擇(채택,고를택)
3. 菜蔬(채소,나물채,나물소) 野菜(야채,들야) 菜食(채식)
4. 光彩(광채,빛광,채색채) 多彩(다채) 水彩畵(수채화,그림화)
5. 浮上(부상,뜰부) 浮沈(부침,가라앉을침) 浮萍草(부평초,개구리밥평)
6. 孵化(부화,알깰부)
7. 乳酸菌(유산균,젖유,산소산,세균균) 乳兒(유아,아이아) 幼兒 (유아,어릴유) 牛乳(우유,소우)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禾(벼)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10 爰(당길)와 受(받을)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9 爭(다툴)와 唐(갑자기)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7 兼(겸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5 君(임금)와 聿(붓)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