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勿(없을)와 易(바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20. 05:13
(勿)없을 물 (物)물건 물 (均)고를 균 (忽)문득,소홀할 홀 / (易)바꿀 역, 쉬울 이 (賜)줄 사
(勿)없을 물 (物)물건 물은 소를 없애서 얻는 것 (均)고를 균은 땅에 돌을 없애서 (忽)문득, 소홀할 홀은 없던 마음이 (易)바꿀 역, 쉬울 이는 해가 없어졌다 있기도 하여 (賜)줄 사는 재물을 쌀로 바꾸어
1. 勿論(물론,없을물,논할논) 勿念(물념,생각념)
2. 膳物(선물,드릴선,물건물) 物我一體(물아일체,나아,몸체)
3. 均等(균등,고를균,가지런할등) 均衡(균형,저울형) 平均(평균, 평평할평)
4. 忽然(홀연,문득홀,그러할연) 忽待(홀대,소홀할홀,대할대)
5. 交易(교역,바꿀교,바꿀역) 易地思之(역지사지,생각사) 安易(안이,평안할안,쉬울이)
6. 膳賜(선사,드릴선,줄사) 下賜(하사) 厚賜(후사,두터울후)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安(편안할),妾(첩),妻(아내)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4.22 女(여자)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4.21 昜(햇살)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4.19 句(글)와 敬(공경할)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4.17 包 (쌀)와 勺(작은 그릇)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