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欠(모자랄,하품)와 次(다음)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14. 04:09
(欠)하품,모자잘 흠 (吹)불 취 (軟)연약할 연 / (次)다음,차례차 (恣)방자할 자 (姿)모습 자 (資)재물,신분자
(欠)하품,모자랄 흠 (吹)불 취는 하품하며 입으로 (軟)연약할 연은 차가 이지러질 정도로 (次)다음 차는 얼음에 하품 후 (恣)방자할 자는 본심 다음 가는 마음 (姿)모습 자는 다음 여자의 (資)재물,신분 자는 사람 다음으로 조개를 무엇이라
1. 欠缺(흠결,모자랄흠,빠질결)
2. 鼓吹(고취,북고,불취) 吹打(취타,칠타) 吹奏(취주,연주할주)
3. 柔軟性(유연성,부드러울유,연약할연) 軟骨(연골,뼈골)
4. 次善(차선,다음차,좋을선) 次期(차기,기간기) 次席(차석,자리석)
5. 恣行(자행,방자할자,행할행) 恣意(자의,뜻의) - 自意(자의)
6. 姿態(자태,모습자,모양태) 姿勢(자세,세력세)
7. 資産(자산,재물자,재산(낳을)산) 資本(자본,밑바탕본) 資金(자금) 資格(자격,신분자,격식격)
'아들을 위한 인문학 > 한자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包 (쌀)와 勺(작은 그릇)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4.16 旬(열흘)와 曷(다할)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4.15 免(면할), 兎(토끼토), 冘(머무를)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4.13 見(볼)와 充(채울)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4.12 兌(바꿀)에 대한 한자 인문학 (0) 2021.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