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철학

이데아론과 철인정치를 주장한 고대철학의 정점인 플라톤 철학은

ybea12 2021. 11. 19. 04:32

플라톤은 소크라테스 제자로 그를 정신적으로 사랑했다고 해서 플라토닉 사랑이라고 표현하기도 하고 그는 정치명문가 후손으로 플라톤은 넓은 어깨라는 뜻으로 레슬링에서 우승도 하고 군대에서 훈장을 받기도 한 최고엘리트이다. 소크라테스의 죽음과 아테네가 스파르타에게 진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의 상대주의 관점을 중시하는 민주정에 대한 비판과 무능에 대해서 철인정치를 주장하였다 그리고 방황에서 돌아와 아테네에 최초대학인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이데아론은 고대이데아는 마음의 눈으로 통찰하는 사물의 순수하고 완전한 형태로 보고 근대이데아는 인간의 주관적인 의식인 관념의 뜻으로 본다. 그는 우리는 이데아 모방한 세계 즉 현실세계에 살고 있다고 하며 동굴의 비유에서 현실의 세계는 이데아세계의 그림자로 보았다. 현실세계는 다양한 변화가 있는 세계이며 이데아세계는 만물에 존재하는 본질로 불변의 세계로 보는 2분법적으로 나누어 철인은 이데아를 알고 그 진리를 탐구해야 한다고 보았다

 

플라톤은 국가론에서 철인정치를 강조하는데 국가계급은 머리-이성 -지혜-통치계급, 가슴-기개-용기-군인계급, -욕망-절제-생산계급 으로 나누고 통치계급교육은 20살 보통교육(음악,체육) ->35살 고등교육 (논리학, 수학, 천문학) ->50살 통치자교육(철학, 국가업무)에서 가장 뛰어난 지혜로운 사람을 훈련과 시험으로 철인인 왕을 선발한다는 것이다. 즉 가장 지혜롭고 이상적인 금욕적인 철학자가 나라통치를 하여 국가정의를 실현하는 것이 철인정치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