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
-
欠(모자랄,하품)와 次(다음)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14. 04:09
(欠)하품,모자잘 흠 (吹)불 취 (軟)연약할 연 / (次)다음,차례차 (恣)방자할 자 (姿)모습 자 (資)재물,신분자 (欠)하품,모자랄 흠 (吹)불 취는 하품하며 입으로 (軟)연약할 연은 차가 이지러질 정도로 (次)다음 차는 얼음에 하품 후 (恣)방자할 자는 본심 다음 가는 마음 (姿)모습 자는 다음 여자의 (資)재물,신분 자는 사람 다음으로 조개를 무엇이라 1. 欠缺(흠결,모자랄흠,빠질결) 2. 鼓吹(고취,북고,불취) 吹打(취타,칠타) 吹奏(취주,연주할주) 3. 柔軟性(유연성,부드러울유,연약할연) 軟骨(연골,뼈골) 4. 次善(차선,다음차,좋을선) 次期(차기,기간기) 次席(차석,자리석) 5. 恣行(자행,방자할자,행할행) 恣意(자의,뜻의) - 自意(자의) 6. 姿態(자태,모습자,모양태) 姿勢(자세,세력세..
-
유대인 부의 3대 원칙은 무엇인가아들을 위한 인문학/경제 2021. 4. 13. 05:05
최상위부자 400명중 유대인이 40%이고 500대 기업 간부중 유대인 41%(한국 0.3%)인데 유대인의 인구는 1500만명으로 세계에서 0.2%만 차지하고 있다. 유대인은 교육열이 높다고 하지만 한국은 기러기 아빠처럼 교육열은 최고고 교육도 최고수준이다. 그러나 기본적인 차이는 한국은 물고기를 물어주는 주입식 교육과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이 많으나 유대인의 교육은 히브루타라는 짝지어 토론하는 교육으로 물고기 잡는 방법을 알려주는 교육을 한다. 노벨상도 한국은 1명인데 유대인은 200명이라는 차이가 있다. 그럼 유대인의 경제관념에 대한 3대 원칙은 아래와 같다. 돈과 경제에 대해서 긍정적인 교육을 한다. 인생은 돈에 대해서 2/3을 고민한다고 하는데 저울에 모든 걱정과 돈 걱정을 올려 놓고 저울하면 돈 걱..
-
免(면할), 兎(토끼토), 冘(머무를)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13. 05:04
(免)면할 면 (勉)힘쓸 면 (晩)늦을 만 (兎)토끼 토 (逸)숨길,뛰어날,편안할 일 (枕)베개 침 (沈)잠길 침 (免)면할 면 (勉)힘쓸 면은 면하려 힘으로 (晩)늦을 만은 해가 면하여 넘어가니 (兎)토끼토 (逸)숨길,뛰어날,편안할 일은 토끼가 도망가 (枕)베개 침은 나무에 머리가 머무는 (沈)잠길 침은 물에 머무는 것은 1. 免疫(면역,면할면,돌림병역) 免役(면역,부역역) 免職(면직,일직) 2. 勉學(면학,힘쓸면,배울학) 勤勉(근면,부지런할근) 3. 晩餐(만찬,늦을만,식사찬) 晩學(만학) 晩年(만년) 4. 免死拘烹(토사구팽,토끼토,죽을사,개구,삶을팽)필요할때만 쓰고 없으면 버리는 세태 守株待兎(수주대토,지킬수,그루터기주,기다릴대) 5. 逸話(일화,숨을일,말씀화) 逸品(일품,뛰어날일,물건품) 安逸(안일..
-
한국의 한식문화의 특징은 무엇인가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식 2021. 4. 12. 04:05
요즘 중국에서는 김푸라고 해서 김치의 원조가 자기나라라고 주장하면서 고구려가 중국역사라는 역사 동북공정에 이어 음식문화까지 자기 문화의 아류라고 치부하며 황당한 얘기를 하고 있다. 몇일전에는 한복까지 중국이 원조라고 하면서 갈등을 겪기도 하였다. 그럼 한식문화에 대해서 알아보면 한식하면 생각나는 것이 김치라고 생각하고 서양은 주로 피클을 찾는다. 김치는 소금에 절이고 굴이나 젓갈류를 넣어 발효하여 먹는 대표적인 것으로 김치는 원래 충청도에서처럼 하얀김치였다가 임진왜란때 일본으로부터 고추가 들어와 빨간김치가 되었다고 한다. 한식하면 또한 된장찌개로 콩을 발효시켜 만든 탕음식으로 조선은 유산균으로 발효음식을 좋아하였다고 본다. 또한 한식은 동아시아의 중식과 일식과 달리 반찬이 많은 편이다. 그러나 임금도 흉..
-
見(볼)와 充(채울)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12. 04:04
(見)볼 견 (現)나타날,이제 현 (規)법 규 (視)볼 시 (寬)너그러울 관 (充)채울 충 (銃)총 총 (統)거느릴 통 (見)볼 견은 눈으로 사람을 (現)나타날,이제 현은 왕이 신하를 보기 위해 (規)법규는 사내가 눈여겨 보아야 할 (視)볼 시는 보고 또 보는 (寬)너그러울 관은 집의 풀을 어떻게 보냐 (充)채울 충 (銃)총 총은 쇠에 화약을 채운 것은 (統)묶을,거느릴 통은 실을 통에 채워 1. 見聞(견문,볼견,들을문) 見解(견해,풀해)의견 所見(소견,바소) 2. 出現(출현,나아갈출,나타날현) 現金(현금,이제현,돈금) 現在 (현재,있을재) 現札(현찰,(화폐)쪽지찰) 3. 規格(규격,법규,격식격) 規範(규범,모범(틀)범) 規則(규칙,법칙) 4. 視察(시찰,볼시,살필찰) 重視(중시,중요할중) 虎視耽耽(호시..
-
베토벤의 서정적인 바이올린 선율이 흐르는 <로망스 2번> 감상하세요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악 2021. 4. 10. 05:29
youtu.be/NjuQyuWHyUs 1798년경에 작곡한 베토벤의 은 서정적인 선율이 아름다운 오늘날 대중적으로 인기가 있으며 전원풍을 일으키는 F장조의 평화롭고 밝은 분위기가 전체에 흐른다. 스물아홉의 베토벤에게 무척이나 잔인한 해이다. 시작은 좋아서 창작에 대한 열의는 무르익어갔고, 모델로 삼던 선배 작곡가 하이든과 모자르트의 그늘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음악을 만들어가는 재미도 생기며 왕성한 활동을 하다가 그만 청력을 상실해 가고 있던 그 시기에 이 탄생했다. 여러분도 잠시 베토벤의 시련속에 서정적인 바이올린 선율이 주는 감동을 느끼시며 편안한 주말이 되시기 바랍니다
-
청각상실 작곡한 ‘합창교향곡’ 베토벤아들을 위한 인문학/음악 2021. 4. 10. 05:16
베토벤은 독일 본에서 술주정뱅이 망나니의 테너가수 아버지에서 가혹하게 악기를 배웠다. 어린나이에 모차르트가 인정하기도 했으며 16세부터 가장노력을 하며 동생들을 엄격하게 다루었다. 성격이 괴팍해 여성과도 잘 어울리지 못하여 평생 싱글로 지내다가 30대 초반 청력이 상실하여 작곡가로 활동하였다. 요양을 위해 한때 비엔나 외곽에서 지냈는데 자살도 생각했다고 한다. 요양에서 비엔나로 돌아와 심오한 작곡을 많이 만들었는데 그는 고전주의에서 낭만주의를 시작하는 작곡가로 활약했으며 특히 청력을 상실하고 작곡한 합창교향곡은 마음으로 신의 음악을 창조하였다고 평가된다. 슈베르트도 근처에 살아 문병을 오기도 했다고 한다. 청력상실은 그가 생선을 좋아하고 생산에 의한 납중독으로 청력이 상실하지 않았나 보고 있다. 베토벤은..
-
兌(바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4. 10. 05:15
(兌)바꿀 태 (悅)기쁠 열 (說)달랠세,말씀설 (稅)세금세 (銳)날카로울예 (脫)벗을 탈 (閱)검열할 열 (兌)바꿀 태 여덟형이 마음을 (悅)기쁠 열은 마음을 바꾸니 (說)달랠세,말씀설은 말을 바꾸며 (稅)세금세는 벼로 바꾸어 내는 (銳)날카로울예는 쇠를 바꾸니 (脫)벗을 탈은 몸을 바꾸려고 허물을 (閱)검열할 열은 문안에서 바꿔가며 1. 兌換紙幣(태환지폐,바꿀태,바꿀환,종이지,화폐폐) 2. 喜悅(희열,기쁠희,기쁠열) 悅樂(열락,즐거울락) 3. 遊說(유세,떠돌유,달랠세) 說得(설득,말씀설,얻을득) 說明(설명) 4. 納稅(납세,들일납,세금세) 稅入(세입,들입) 免稅(면세,면제할면) 5. 尖銳(첨예,뾰족할첨,날카로울예) 新銳(신예) 銳鋒(예봉,칼끝봉)날카로운 논조 6. 脫線(탈선,벗어날탈,줄선) 離脫(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