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
亞, 吳, 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2. 15. 03:28
(亞)버금 아 (惡)악할 악 미워할 오 / (娛)즐거워할 오 (誤)그르칠 오 / (區)나눌,구역 구 (驅)몰,달릴 구 (軀)몸 구 (亞)버금아 (惡)악할 악과 미워할 오는 2인자의 마음은 (娛)즐거워할 오는 여자들이 큰소리치며 (誤)그르칠 오는 말할 때 큰소리치면 (區)나눌,구역 구는 감춘 물건을 (驅)몰,달릴구는 말을 어느 구역으로 (軀)몸 구는 나누어진 신체는 1. 亞熱帶(아열대,버금아,열열,띠대), 亞流(아류,갈래(흐를)류) 2. 惡童(악동,악할악,아이동), 惡用(악용,쓸용) 憎惡(증오,싫어할증, 미워할오) 3. 娛樂(오락,즐거울오,즐거울락) 4. 誤報(오보,그르칠오,알릴보) 誤謬(오류,그르칠류) 誤發彈(오발탄, 쏠(필)발,탄환탄) 5. 區分(구분,나눌구,나눌분) 區間(구간,사이간) 區劃(구획,구역..
-
中와 吏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2. 14. 04:03
(中)가운데 중 (忠)충성 충 (患)근심,병 환 (仲)버금,중개 중 (史) 역사 사 / (吏)관리 리 (使)하여금,부릴 사 (中)가운데 중 (忠)충성 충은 가운데 마음은 (患)근심,병 환은 가운데 가운데 마음은 (仲)중개,버금 중은 사람이 가운데서 하는 (史)역사 사는 가운데를 지키며 쓰는 (吏)관리 리 (使)하여금,부릴 사는 높은 사람이 관리를 1. 中立(중립,가운데중,설립), 中央(중앙,가운데앙), 命中(명중,맞출명) 2. 忠告(충고,충성충,알릴고), 忠臣(충신,신하신) 3. 憂患(우환,근심우,근심환) 患者(환자,병환,놈자) 有備無患(유비 무환,있을유,갖출비,없을무,근심환) 4. 仲介人(중개인,중개할중,끼일개) 伯仲之勢(백중지세,맏백,버금중, 세력세)첫째와 둘째의 비슷한 세력 5. 史劇(사극,역사사,..
-
必과 口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2. 13. 04:14
(必)반드시 필에서 (秘)숨길,신비로울 비 (密)빽빽할,비밀 밀 (蜜)꿀 밀 / (口)입,말할,구멍 구 (回)돌,횟수 회 (品)물건,품위, 등급 품 (必)반드시 필 (秘)숨길,신비로울 비로 반드시 벼는 (密)빽빽할,비밀 밀은 집이 반드시 산 안에 있으며 나무로 (蜜)꿀밀은 집이 반드시 벌레가 있으면 그것은 (回)돌,횟수 회로 입이 에둘러 돌아 (品)물건,품위,등급 품은 세사람이 말하는 것은 1. 必勝(필승,반드시필,이길승), 必讀(필독,읽을독), 必須(필수, 모름지기수) 必要(필요,구할(요구)요) 2. 秘資金(비자금,숨길비,재물자,돈금), 秘境(비경,지경경) 秘訣(비결, 방법결), 秘藏(비장,감출장)비장의 무기 3. 密度(밀도,빽빽할밀,정도도) 密林(밀림,수풀림) 密告(밀고,비밀밀, 알릴고) 密輸(밀수,..
-
囚, 因, 困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2. 12. 04:05
(囚)죄인 수 (溫)따뜻할 온 / (因)말미암을 인 (姻)시집갈 인 (恩) 은혜 은 (咽)목구멍 인 / (困)곤란할 곤 (囚)죄인 수는 사람이 갇혀 있는 (溫)따뜻할 온은 죄수 그릇에 있는 물은 (因)말미암을,의지할 인은 갇히는 큰 이유는 어떤 것에 (姻)시집갈 인은 여자가 의지하는 것은 (恩)은혜 은은 마음으로 말미암은 것은 (咽)목구멍 인은 입으로 말미암은 것은(困)곤란할 곤은 울타리에 나무는 자라기 1. 囚衣(수의,죄인수,옷의), 死刑囚(사형수,죽일사,형벌형), 良心囚 (양심수,어질양) 罪囚(죄수,허물죄) 2. 溫情(온정,따뜻할온,마음정), 溫故知新(온고지신,옛고,알지,새신) 3. 因緣(인연,인할인,연분연) 因習(인습,습관(익힐)습)옛부터 인한 습관 敗因(패인,질패,원인인) 4. 姻戚(인척,시집갈인..
-
盾와 宀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2. 11. 03:08
(盾)방패 순 (循)돌 순 / (宇)집,우주 우 (宙)집,하늘 주 (宮)궁궐 궁 (字)글자 자 (盾)방패 순 (循)돌 순은 방패를 들고 천천히 거닐며 (宇)집, 우주 우는 어조사 우가 있는 곳 (宙)집,하늘 주는 나를 말미암을 곳은 (宮)궁궐 궁은 등뼈처럼 큰 곳은 (字)글자 자는 집에서 아들이 배우는 것은 1. 矛盾(모순,창모,방패순) 2. 惡循環(악순환,나쁠악,돌순,고리환) 3. 宇宙圈(우주권,하늘우,하늘주,범위(우리)권) 4. 宇宙基地(우주기지,터기,땅지) 5. 宮闕(궁궐,궁궐궁,궁궐궁), 宮殿(궁전,궁궐궁,대전전) 궁궐은 궐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왕과 왕족이 일을 보고 생활하는 곳이며 궁은 궐보다 한 단계 낮추어서 부르는 것이고 궁전은 궁과 궐의 안의 전각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6. 識字憂患(식자우환..
-
平, 乎, 午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2. 10. 04:16
(平)평평할,평화 평에서 (評)평가할 평 / (乎)어조사 호 (呼)부를 호 / (午)낮,말 오 (許)허락할 허 (平)평평할,평화 평 (評)평가할 평은 말로 평평하다고 (乎)어조사 호 (呼)부를 호는 입으로 호하고 (午)낮,말 오 (許)허락할 허는 낮에 말로 1. 平均(평균,평평할평,고를균), 平等(평등,가지런할등), 平和(평화, 평화평,화합할화) 2. 批評(비평,따질비,평가할 평), 論評(논평,논할논) 品評(품평,물건품) 3. 斷乎(단호,끊을단,어조사호) 4. 歡呼(환호,기쁠환,부를호), 呼出(호출,날출) 呼訴(호소,하소연할소) 呼名(호명,이름명) 5. 午餐(오찬,낮오,밥찬) 午後(오후,뒤후) 正午(정오) 6. 免許(면허,면제할면,허락할허)금지를 면제하고 허락 許容(허용, 받아들일(얼굴,용기) 용) 許諾..
-
干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2. 9. 02:16
(干)방패,범할,마를,얼마 간에서 (肝)간 간 (刊)책 펴낼 간 (汗)땀 한 (旱)가물 한 (軒)집 헌 (岸)언덕 안 (干)방패,범할,마를,얼마 간 (肝)간 간은 몸에서 방패 역할을 하는 (刊)책 펴낼 간은 방패같은 곳에 칼로 새겨 (汗)땀 한은 물처럼 방패역할을 하는 (旱)가물 한은 해를 방패로 막으니 (軒)집 헌은 수레와 방패가 있는 곳은 (岸)언덕 안은 산바위가 방패처럼 깎인 1. 干戈(간과,방패간,창과), 干涉(간섭,범할간,건널섭), 若干(약간, 같을약,얼마간) 干潮(간조,마를간,조류조) 2. 肝炎(간염,간간,염증염), 肝腸(간장,창자장) 3. 創刊(창간,처음창,책펴낼간), 刊行(간행,행할행), 週刊(주간,돌 주) 4. 發汗(발한,생길발,땀한), 汗蒸幕(한증막,증기(찔)증,휘장막) 5. 旱害(한해..
-
原와 泉에 대한 한자 인문학아들을 위한 인문학/한자인문학 2021. 2. 8. 03:18
(原)언덕,근원 원에서 (源)근원 원 (願)바랄 원 / (泉)샘 천 (線)줄 선 (原)언덕 원 (源)근원 원은 언덕위 물의 (願)바랄 원은 언덕에서 머리를 내밀며 (泉)샘 천은 흰물이 모여 (線)줄 선은 실로 된 샘이 줄처럼 흐르니 1. 草原(초원,풀초,언덕원), 原價(원가,근원원,값가), 原油(원유, 근원원,기름유)精油(정유, 세밀할정)와 대비, 原因(원인,이유인) 2. 起源(기원,일어날기,근원원), 拔本塞源(발본색원,뽑을발,근본본, 막을색,근원원) 3. 念願(염원,생각념,바랄원), 所願(소원,바소), 祈願(기원,빌기) 4. 溫泉(온천,따뜻할온,샘천), 源泉(원천,근원원)원천기술 5. 路線(노선,길로,줄선)버스노선, 脫線(탈선,벗어날탈), 曲線(곡선, 굽을곡)